[독서노트] <현대건축 흐름과 맥락>#006 큐비즘, 미래파
큐비즘 [0028-1~4] 프라하 건축 형태적 독립 01-1. 1911년경 프라하, 비엔나 유겐트슈틸 대표 오토 바그너의 명확학 구축적(stereometric)건축 영향과 들로네, 브라크, 피카소 등 형태 급진적 해체-재조립한 입체파 화가 영향. 파리에서 활동하던 들로네 오브제를 큐브, 구, 원 등 기본 기하 형태로 해체 실험 시기. 01-2. 프라하 입체파 건축가들, 입체파 화가들의 작품을 자신들이 설계하는 주택 파사드 영감 원천 삼아, 여러줄의 큐빅, 프리즘 형태로 장식. 거주 가능한 조각. 02. 같은 시기 후기 고딕 건축 인용한 추상적 볼트(vault) 사용, 순수 지역적 표현이란 오해 > 북유럽 표현주의 관련 혹은 다른 독자적 대안으로 재평가. 03-1. 큐비즘 건축 대표주자 요세프 고차르 , ..
[독서노트] <자본주의 특강> #010 시장 교환 1
5장 시장 교환 [0143-1~0144-4] 01. 자본주의 도래 전, 경제에서 시장은 주변적 위치. 생계와 욕구를 위한 생산 및 분배는 전통, 관습, 규범 혹은 명령에 따름. 02. 대규모 경제, 노동분업 등 자급자족 불가능한 상황에서 시장 메커니즘 역할 증대, but 상호성 규범, 명령 및 국가 관리 재분배는 여전히 중요. 03. 자본주의, 시장 교환이 경제활동 조정하는 역사상 최초의 체계. 국가사회주의 몰락, 1930년 이후 경기침체 X > 시장 효율성과 조화로운 통합 긍정적 평가와 자본주의=시장이라는 관점 지배적. [0145-1~2] 고전사회학 및 이단적 경제학 01. 고전사회학 및 이단적 경제학, 시장에 대한 전혀 다른 견해. 02-1. 시장, 자본주의 체제 일부. 권력, 권위 등 비시장적 요소..
[독서노트] <자본주의 특강>#007 화폐 1
2부 제도 4장 화폐 [0101-1~0103-3] 01. 사회과학은 화폐를 노동 분업, 기술, 인구 증가, 사적 소유권 등 요인 의해 촉발된 경제 발전에 기능적 요구로 출현한 것으로 여기는 태도 역력하나 / 화폐는 사회,정치적 구성된 제도이며 그래서 깨지기 쉬움. 02. 화폐 통한 자본주의 경제 기본 조건 1)대규모 몰인격 시장 가격 메커니즘 가능케하는 가치척도 제공 > 교환 범위 확장, 2)자본주의 기본 골간되는 장기 대부 계약, 가치 안정된 화폐 없이 불가능. 03-1. 자본주의 화폐 독특성, 국가, 은행 시스템 제도 통한 무한 신용화폐 창출(개인 채무 > 화폐 전환), 자본주의 역동이자 취약점. 03-2. 탄력적 화폐 생산, 전체 경제 생산능력 웃도는 인플레이션 / 부채 의한 지급불능 > 부채 디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