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모임/준비] <표면으로 읽는 건축>#005_05 기제작과 재제작(p.202~p.240)_03
vi. 발견된 대로(p.227~p.235) [0227-2 ~ 0232-1]01. 스털링과 고완 , "발견된"사물과 그들의 변형을 받아들이는 감각02. 기능별 볼륨의 병치, 관습 벗어난 재료 사용(가벼운 조적벽, 프리즘 유리창), 프램튼은 구조와 외피의 분리 평가03. 다양한 볼륨의 공존과 상호 근접성, "집합체 표현"을 위한 가장자리 선처리의 시각적, 시공적 고려 [0232-2]01. 매스와 집합체 사이 모호한 경계에서 오는 "파편의 집합"의 이미지, 큐비즘 회화와 유사02. 3차원 매스 배치에 엑소노메트릭 활용, 입면도(전통 파사드 건축)와 대비되는 엑소노메트릭의 3차원 총체적 경험 [0234-1 ~ 0234-2]01. 스털링, 고완 , 개개 볼륨보다 여려면에 복합 집약된 매스 추구, 제한된 재료02...
[독서모임/준비] <표면으로 읽는 건축>#005_05 기제작과 재제작(p.202~p.240)_02
iv. 창조와 제한된 수단들(p.216~p.224) [0216-2 ~ 0217-1]01. 데라소타, 전후의 제한된 상황과 조건 속 군더더기 없는 건축 구현02. LC와의 만남에서 "불완전성"에 대한 영감, 이상화된 이미지 거부 [0217-2]01. 데라소타 , 도시에 등을 돌린, 안으로 향한 건축02. 메시지 전달해야 한다는 통념 거부, 시공 과정의 표현만으로 건축 성립 가능성 보임 [0219-1 ~ 0219-3]01. , 당시 근대 건축의 공공성 및 기념비성 논쟁(서트, 레제, 기디온)02. 균형 혹은 불균형 이루면서 후퇴한 면, 축을 기준으로 어긋난 "불완전한" 형태03. "설명"보다 "묘사"의 리얼리티, 형태로 의미전달하는 직설 없이 성취한 상징성 [0220-1 ~ 0220-3]01. , 제약과 열..
[독서모임/준비] <표면으로 읽는 건축>#004_04 표준화의 변형(p.163~p.201)_02
iv. 연속 반복의 건축(p.181~p.192) [0181-1 ~ 0181-2]01. 노이트라의 기성 제작 시스템에 대한 관심과 공장 생산 부품을 이용한 프로젝트02. 필수 불가결한 "반복"요소, 부재의 반복 가능성이 성공의 척도 [0182-1]01. 벅민스터 풀러의 기성 화장실 에피소드, 표준 생산품 개인 주택에 적용에 대한 회의02. 표준화와 개성, 자동차와 달리 집은 땅에 위치, 표준화의 변형을 요구 [0182-2 ~ 0184-2]01. 공장 조립 생산과 인간적 요구 사이의 적절한 조화 시도02. , 판데어리우 기념, 공장 생산 "이미지"만 표현03. , 철제 골강판 혁신적 사용, 기성재료, 근대적 삶, 대지 및 기후 반영 [0187-1 ~ 0189-1]01. 생산 방식, 수공예-기계생산의 대립 너..
[독서모임/준비] <표면으로 읽는 건축>#004_04 표준화의 변형(p.163~p.201)_01
04 표준화의 변형 i. 산업 환경에서의 빛(p.163~p.168) [0163-1]01. 칸의 공장, 생산성, 효율성은 성취했으나 비인간적 작업환경, 빛의 상징적 가치 상실 비판02. 건축주 판데어리우 , 신지학에 기반한 박애정신과 미국 선진 기술의 합작 [0164-2 ~ 0166-1]01. 칸의 공장: 철골구조, 단층, 공정에 따라 대지에 선형 배치 / 판 넬레: R.C구조, 다양한 층수의 분동, 강과 도로 등에 따른 사선 배치02. 바우하우스 연상되는 입면, 설계 참여자들의 독일 아방가르드 작가들과의 친분 및 영향 [0167-1]01. 미국 산업분야 실용정신과 유럽 휴머니즘에 기반한 공산사회적 이상주의의 결합02. 미국 산업화의 유럽 영향, 뉴에 바우엔(Nieuwe Bouwen) 그룹 등장 [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