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자료] 『건축강의 1 - 건축이라는 가능성』#004_04 사람은 왜 시설을 만드는가(p.172~p.211)
04 사람은 왜 시설을 만드는가 1. '建' '築'의 의미 i. '건축' 한자 풀이(p.173~p.174)[0173-3 ~ 0174-1]01. 聿 붓 율, 廴길게 걸을 인, 建 붓을 들어 적어 '서로 약속한 바'가 오래가도록 당기고 이끌며 사물을 차례대로 정하며 세우는 것02. 築, 나무(木) 위에 도구(工)로 토담을 만들어 그 위에 대나무(竹)를 덮는 것03. 建, 잴 수 없는 모두의 뜻, 합의, 미래에 대한 희망, 일종의 제도 / 築, 실제의 물질로 세우고 공간을 만드는 것 ii. '건축'과 '영조'의 경쟁(p.174~p.176) [0174-2 ~ 0176-1]01. 영조(營造), 지형과 더불어 완성되는 "가꾸어 지어내는 일", 건조물이나 시설을 만드는 것이며 대개 대규모의 공적 조영, 즉 건설에 가..
[세미나자료] 『건축강의 1 - 건축이라는 가능성』#003_03 건축과 공동성(p.130~p.171)
03 건축과 공동성 1. 건축의 근거 i. 건축은 공동의 산물(p.131~p.140) - 일상의 언어[0131-1 ~ 0133-2]01. 건축은 일상 생활을 지탱하는 공통의 언어02. '건축가'라는 직업 이전에 모든 사람은 본질에서 '건축가'03. 배우지 않아도 갖고 있는 문, 창, 계단, 지붕, 기둥, 벽에 대한 공통의 관념04. 르루아구랑, "인간의 공동생활, 의식에 형태를 주는 가장 큰 도구는 건축과 도시" - 공동의 목적[0133-3]01. 주민(inhabitant), 관습(inhabit)을 받아들이고 그 안(in)에 함께 사는 사람02. 집, 공동체의 삶의 방식과 바라는 바가 베어 있음, 건축은 공동의 사회적 행위를 관습으로 규정 [0134-3 ~ 0135-4]01. 프랑클, "건축, 일정 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