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R 독서모임/2018-02 건축강의 1 - 건축이라는 가능성

(4)
[세미나자료] 『건축강의 1 - 건축이라는 가능성』#004_04 사람은 왜 시설을 만드는가(p.172~p.211) 04 사람은 왜 시설을 만드는가 1. '建' '築'의 의미 i. '건축' 한자 풀이(p.173~p.174)[0173-3 ~ 0174-1]01. 聿 붓 율, 廴길게 걸을 인, 建 붓을 들어 적어 '서로 약속한 바'가 오래가도록 당기고 이끌며 사물을 차례대로 정하며 세우는 것02. 築, 나무(木) 위에 도구(工)로 토담을 만들어 그 위에 대나무(竹)를 덮는 것03. 建, 잴 수 없는 모두의 뜻, 합의, 미래에 대한 희망, 일종의 제도 / 築, 실제의 물질로 세우고 공간을 만드는 것 ii. '건축'과 '영조'의 경쟁(p.174~p.176) [0174-2 ~ 0176-1]01. 영조(營造), 지형과 더불어 완성되는 "가꾸어 지어내는 일", 건조물이나 시설을 만드는 것이며 대개 대규모의 공적 조영, 즉 건설에 가..
[세미나자료] 『건축강의 1 - 건축이라는 가능성』#003_03 건축과 공동성(p.130~p.171) 03 건축과 공동성 1. 건축의 근거 i. 건축은 공동의 산물(p.131~p.140) - 일상의 언어[0131-1 ~ 0133-2]01. 건축은 일상 생활을 지탱하는 공통의 언어02. '건축가'라는 직업 이전에 모든 사람은 본질에서 '건축가'03. 배우지 않아도 갖고 있는 문, 창, 계단, 지붕, 기둥, 벽에 대한 공통의 관념04. 르루아구랑, "인간의 공동생활, 의식에 형태를 주는 가장 큰 도구는 건축과 도시" - 공동의 목적[0133-3]01. 주민(inhabitant), 관습(inhabit)을 받아들이고 그 안(in)에 함께 사는 사람02. 집, 공동체의 삶의 방식과 바라는 바가 베어 있음, 건축은 공동의 사회적 행위를 관습으로 규정 [0134-3 ~ 0135-4]01. 프랑클, "건축, 일정 기간..
[세미나자료] 『건축강의 1 - 건축이라는 가능성』#002_02 근원을 아는 자의 기술(p.076~p.129) 02 근원을 아는 자의 기술 1. 건축, 아키텍처 i. 아르키텍토니케 테크네(p.077~p.079) [0077-2]01. 만드는 대상이 무엇인가에 따라 만드는 행위의 고유성이 정해짐 [0077-3]01. 건축가의 직능, 여러 사물의 여러 원리를 알아 여러 기술자를 관할하는 총괄적인 기술 [0077-4]01. arche, 시작, 기원, 행동의 근원, 본질로 돌아감 [0078-2]01. 사람이 살아가는 데 근본이 되는 것을 계속 물으면서 나무를 짜 맞추는 사람02. 아르케(원리, 근원)를 알고 이를 기술로 바꾸는 자 [0079-1]01. 건축, '근원을 아는 자의 기술', 무언가의 불변의 가치를 위해 기술을 통합02. 건축으로 많은 것이 수렴되는 사회의 도래 ii. 건축의장(p.079~p.085) - 마음으..
[세미나자료] 『건축강의 1 - 건축이라는 가능성』#001_01 건축을 생각하는 조건(p.034~p.075) 01 건축을 생각하는 조건 1. 생활 i. 지속하는 생활(p.035~p.036) [0035-1]01. 바닥과 벽으로 둘러싸이고 천장이나 지붕으로 에워싸인 공간02. 건축은 중력에 대항한다는 특성으로 인해 형태가 추상적, 견고, 냉정 [0035-2 ~ 0036-2]03. 건축은 시간에 관한 것, 성장하고 변하는 것04. 라스무센의 『건축예술의 체득』, "사람이 집 안에서 잘 자라지 못한다면 눈에 보이는 아름다움은 아무 쓸모없게 될 것"05. 일상, 수많은 약속과 목적 또는 습관으로 성립하는 세계06. 건축은 수많은 사람들이 함께하는 일상의 바탕, 한정된 예술적 판단이 기준 될 수 없음 ii. 살아가는 방식(p.036~p.038) [0036-3]01. 집, 사람이 사는 공간, 신체와 같은 것 [003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