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cques Ellul 읽기/01) 세상 속의 그리스도인

(5)
[독서노트] <세상 속의 그리스도인>#004_02 혁명적인 기독교(p.061~p.096)_02 2장 i. 세상 속의 그리스도인의 혁명적 상황(p.076~p.078) [0076-1 ~ 0078-1] 01. 세상 속의 그리스도인의 상황은 혁명적 상황, 세상의 보존에 참여함은 소진되지 않는 혁명의 힘 02. 그리스도인은 순응적으로 보이지만, 혁명적 역량은 인간에 의존하지 않는 성령과 그리스도의 사역과 선택 [0078-2 ~ 0078-3] 01. 혁명은 특정 국가, 정부가 아닌 세상의 근본 구조에 대한 것, 혁명이 반드시 국가권력과의 투쟁으로 이어지는 것 X ii. 혁명적 상황의 조건(p.079~p.086) [0079-1 ~ 0080-1] 01. 첫째, 그리스도인의 이중 정체성, 세상의 사회,정치,경제적 실재안에서 하나님나라의 요구를 대리하는 긴장된 상태 02. 궁극적 하나님나라 오게하는 것 X, 세상의..
[독서노트] <세상 속의 그리스도인>#003_02 혁명적인 기독교(p.061~p.096)_01 02 혁명적인 기독교 1장 i. 종말론적 세상에서 혁명의 필요성(p.063~p.066) [0063-1 ~ 0064-3] 01. 모든 사람은 이 문명에 대한 철저한 변혁의 필요성 즉, 혁명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음 02. 전면적 전쟁, 독재 제국, 구조화된 기근, 도덕의 완전 붕괴, 극도의 불평등, 국가,자본에 의한 노예화, 인류,개인 차원의 비인간화 등 [0064-4 ~ 0065-1] 01. 우리 시대가 유달리 고통스럽고 종말론적이란 생각은 시각적 착각 02. 그리스도인은 매순간 종말론적 시각만 가짐, 실제적 세상의 끝이 아닌 실제 종말론적인 현재의 삶 ii. 세상의 정체성과 구조들(p.066~p.070) [0066-1 ~ 0067-1] 01. 세상 문명이 가지는 결정적 가치와 구조: 생산의 우선성, 국가..
[독서노트] <세상 속의 그리스도인>#002_01 세상 속의 그리스도인(p.035~p.060)_02 2장 세상 속에서 그리스도인의 자세와 역할 i. 세상에서 그리스도인의 상황(p.047~p.049) [0047-1 ~ 0048-1] 01. 세상 속 그리스도인의 긴장상태, 이 세상을 덜 죄짓게 하는 것 불가능하며, 그렇다고 죄된 세상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도 불가능 02. 내가 연대한 공동체의 죄에 대한 책임, 삶 속의 이 필연적 거리낌을 회개하는 마음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최우선 [0049-1 ~ 0049-2] 01. 이 긴장의 수용이 세상을 진정으로 돕는 유일한 길 02. 세상은 문제의 근본원인(영적 실재) 직시하지 못하며, 도덕적, 기술적 해결에만 집착 03. 세상 속 그리스도인, 예수 그리스도의 용서 받아들이고 생명을 가져다주는 방식 즉, 복음만이 진정한 문제해결임을 제시 ii. 평신도의 존재 의미(..
[독서노트] <세상 속의 그리스도인>#001_01 세상 속의 그리스도인(p.035~p.060)_01 01 세상 속의 그리스도인 1장 세상 속의 그리스도인의 상황과 직무 i. 연구의 출발점(p.037~p.038) [0037-1 ~ 0038-1] 01. 그리스도인은 세상과 분리되지 않고 세상에 머물러야 함 02. 세상에 살되, 세상에 속하지 않음 즉, 세상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 세상을 의존하지 않음 03. 그리스와의 연합이 주는 의미 1) 영적 실재와 마주함(정사와 권세와 어둠의 세상 주관자들) 2) 죽음을 향해 가는 세상의 운명에서 벗어나 영적 실재들과 투쟁 가능 ii. 성서가 말하는 그리스도인의 의무(p.038~p.042) [0038-2 ~ 0041-2] 01. 세상의 소금, 삶과 말을 통해 언약의 징표가 되어야 함, 세상은 이 징표로 보존됨 02. 세상의 빛 1) 진정한 선의 기준을 제공, 2) 세..
[목차] <세상 속의 그리스도인>#000 역자의 글 서문 하나, 세상 속의 그리스도인 둘, 혁명적인 기독교 셋, 목적과 수단들 넷, 커뮤니케이션 다섯, 서론과 결론 내용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