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노트] <자본주의 특강>#004 슘페터
2장 슘페터와 케인스 [0061-1] 01. 스미스와 마르크스의 ‘중립적 매개체’ 화폐 이해와 달리, 19세기 후반 자본주의 발전 과정에서 독특한 화폐적, 금융적 성격 명확해짐. 은행 신용화폐 창출, 독자적 위치 차지하는 힘. 1. 조지프 슘페터_'자본주의 총본부' 화폐시장 [0062-1~0063-2] 01. 한때 경제학 균형일반 모델 수학적 정교화에 관심 가졌으나, 역사적 연구 필요성 인식, 마르크스의 연구 계획과 방법 높이 평가. 02. 자본주의 이론적 이해, 상호 연관된 두 문제, 1)’순환적 흐름’ 일반균형 모델 존중, 허나 마르크스가 지적한 화폐적 이윤, 자본 확대 설명 불가, 2)순환적 흐름 모델의 화폐, 자본주의 경제 특유 금융적 성격 파악 불가 >> 순환적 흐름 정태적 모델, 자본주의 성장..
[독서노트] <자본주의 특강>#003 베버
3. 막스 베버_자본주의의 역사적 특성: 합리성, 계산, 지배 [0043-1~0045-1] 개요 01. 베버가 막으려한 학문 분과 전문화 >> 근대 자본주의 발전 이해에 심각한 손상. 베버는 경제학, 마르크스주의, 유럽 문화 특성에 대한 역사적 연구 통합, 경제학만으론 부족한 ‘합리적’ 자본주의 서유럽 기원 해명. 02-1. 동양, 이윤추구가 주된 경제적 동기 X. 베버, 근대 유럽 이윤 추구 넘어, 이윤 추구하는 독특한 방법에 주목. 02-2. 베버, 자본주의란 순이윤 합리적 계산 관료적 기업 이끄는 산업생산에 인간 필요 욕구 충족 맡기는 경제. 02-3. 복식부기 통해 달성된, 매 순간 이윤 창출 계산하는 자본회계가 본질적 요소. 이런 기술, 적용 가능한 사회 즉, 경제적 생산 분배 여러 과정이 계산..
[독서노트] <현대건축 흐름과 맥락>#004 근대화와 산업화, 신고전주의, 페터 베렌스
첫 번째 모던 1910-1920 근대화와 산업화 [0018-1~3] 제1차 세계대전 중 제국주의 시대의 종말 01. 19세기 말, 힘겹게 맞춰진 열강들의 균형에 다시금 변화 일어나기 시작. 군비 경쟁, 정치적 극렬 민족주의, 경제적 보호 무역. 02. 1914년 6월, 사라예보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황태자 암살사건 시작으로 제1차 세계대전 발발, 1789년 프랑스혁명에서 시작된 '지루한 19세기'의 종말. [0018-4~0019-2] 독일공작연맹 01.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획득을 위한 영국을 상대로한 독일의 산업화 전략 일환으로 영국 윌리엄 모리스의 수공예운동과 상반되게, 독일은 산업화, 기계화 채택. 뛰어난 디자인의 질 높은 생산품 목표로 산업가, 예술가, 공예가들의 복합적 노력으로 1907년 독..
[독서노트] <자본주의 특강>#001 스미스
1부 고전 이론들 1장 스미스, 마르크스, 베버 1. 애덤 스미스_'보이지 않는 손'의 조화 속에 있는 시장 [0017-1~0018-2] 배경, 개요 01. 1776년 출간한 애덤 스미스 , 서유럽 전례 없는 경제성장 설명하려는 시도. 에스파냐 / 네덜란드 등 당시 지배적 페러다임 ‘중상주의’로 설명되지 않는 경제 현상에서 대한 새로운 해석. ‘상업’ 기초 경제 발전 새로운 단계 진입. 02. ‘상업’ 사회 세 구성요소, 생산요소, 시장, 국가. 자급자족적 가정경제, 폐쇄적 장원의 전통적 상호성, 재분배 >> 시장 메커니즘에 의한 임금, 가격으로 대체. 시장 교환이 전문화된 분업 심화시켜 큰 효율성과 경제성장 가져옴. [0019-1] 여러 생상요소들 01. 상업 사회는 농업, 제조업 두 부문의 생산도구들..
[독서노트] <공간으로 세상 읽기 - 집.터.길의 인문사회학>#008
4. 아파트와 마을 만들기 [0107-1~2] 01. 이웃과 지역 필요한 인간 욕구, 원활한 통치 위한 공간 단위 구획의 전략적 이점 -> ‘마을 만들기’ 사업, 계획을 통해 마을 만드는 것 가능하다고 전제. 20세기 초 집약적 주거와 자동차 시대의 도래, 마을 만들기 필요성의 배경. [0108-1~0109-1] 01. 페리의 근린주구론. 적정 초등학교 학생수(800~1500명) 기준 인구 규모(4,800~9,000명)로, 초등학교, 놀이터 및 소공원, 근린상점, 주거환경 중심으로 계획, 전체도시 일부이자, 독자적 ‘세포도시’. 02. 미국 자본주의 페리 / 소련 사회주의 밀류친. 원칙은 ‘공동주택과 직주일치’. 하워드의 ‘전원도시’, 공상적 사회주의자들의 코뮌주의 적극 반영. 1935년 ‘모스크바 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