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노트] <자본주의 특강> #010 시장 교환 1
5장 시장 교환 [0143-1~0144-4] 01. 자본주의 도래 전, 경제에서 시장은 주변적 위치. 생계와 욕구를 위한 생산 및 분배는 전통, 관습, 규범 혹은 명령에 따름. 02. 대규모 경제, 노동분업 등 자급자족 불가능한 상황에서 시장 메커니즘 역할 증대, but 상호성 규범, 명령 및 국가 관리 재분배는 여전히 중요. 03. 자본주의, 시장 교환이 경제활동 조정하는 역사상 최초의 체계. 국가사회주의 몰락, 1930년 이후 경기침체 X > 시장 효율성과 조화로운 통합 긍정적 평가와 자본주의=시장이라는 관점 지배적. [0145-1~2] 고전사회학 및 이단적 경제학 01. 고전사회학 및 이단적 경제학, 시장에 대한 전혀 다른 견해. 02-1. 시장, 자본주의 체제 일부. 권력, 권위 등 비시장적 요소..
[독서노트] <자본주의 특강>#007 화폐 1
2부 제도 4장 화폐 [0101-1~0103-3] 01. 사회과학은 화폐를 노동 분업, 기술, 인구 증가, 사적 소유권 등 요인 의해 촉발된 경제 발전에 기능적 요구로 출현한 것으로 여기는 태도 역력하나 / 화폐는 사회,정치적 구성된 제도이며 그래서 깨지기 쉬움. 02. 화폐 통한 자본주의 경제 기본 조건 1)대규모 몰인격 시장 가격 메커니즘 가능케하는 가치척도 제공 > 교환 범위 확장, 2)자본주의 기본 골간되는 장기 대부 계약, 가치 안정된 화폐 없이 불가능. 03-1. 자본주의 화폐 독특성, 국가, 은행 시스템 제도 통한 무한 신용화폐 창출(개인 채무 > 화폐 전환), 자본주의 역동이자 취약점. 03-2. 탄력적 화폐 생산, 전체 경제 생산능력 웃도는 인플레이션 / 부채 의한 지급불능 > 부채 디플..
[독서노트] <자본주의 특강>#004 슘페터
2장 슘페터와 케인스 [0061-1] 01. 스미스와 마르크스의 ‘중립적 매개체’ 화폐 이해와 달리, 19세기 후반 자본주의 발전 과정에서 독특한 화폐적, 금융적 성격 명확해짐. 은행 신용화폐 창출, 독자적 위치 차지하는 힘. 1. 조지프 슘페터_'자본주의 총본부' 화폐시장 [0062-1~0063-2] 01. 한때 경제학 균형일반 모델 수학적 정교화에 관심 가졌으나, 역사적 연구 필요성 인식, 마르크스의 연구 계획과 방법 높이 평가. 02. 자본주의 이론적 이해, 상호 연관된 두 문제, 1)’순환적 흐름’ 일반균형 모델 존중, 허나 마르크스가 지적한 화폐적 이윤, 자본 확대 설명 불가, 2)순환적 흐름 모델의 화폐, 자본주의 경제 특유 금융적 성격 파악 불가 >> 순환적 흐름 정태적 모델, 자본주의 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