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노트 2017

(50)
[독서노트]<공간에 대한 철학적 이해>#013_4장 아인슈타인의 시공간과 유물론(p.105~p.130)_04 3. 상대론적 시공간에 대한 관념론적 해석 비판[0119_1] (...) 고도의 추상적인 수학적 작업(특히 기하학)으로 인해 몇 가지 왜곡된 해석들, 특히 관념론적 해석들이 존재 i. 객관적 관념론의 관점 비판[0120_1] (...) 일반상대성이론을 객관적 관념론의 관점에서 해석하는 경우 (...) 고도의 수학화 과정을 통해 객관적 실재로부터 추상화된 관념적 실체로 보고, 아인슈타인의 방정식이 모든 물질을 이러한 시간-공간으로 환원한 것으로 간주 (...) 장 방정식은 중력이론과 기하학을 하나의 전체로 통일시킨 식 (...) 기하학의 선택에 있어서 물리적 경험적 결정의 중요성과 함께 중력에 의한 시공구조의 결정을 함축 ii. 규약주의적 해석의 관점 비판[0120_2] (...) 일반상대성이론을 규약주의..
[독서노트]<공간에 대한 철학적 이해>#012_4장 아인슈타인의 시공간과 유물론(p.105~p.130)_03 2. 아인슈타인의 상대론적 시공간i. 특수상대성이론에서의 시공간[0112_1] (...) 아인슈타인은 이러한 수학적 기초들에 대해 새로운 물리적-철학적 해석 (...) 장 역시 객관적으로 실재하는 물질임을 승인함 (...) 기존의 기계론적 이해를 거부하고 광속불변의 원리를 물질의 속성에 관한 객관적 진리로 받아들여 (...) 에테르의 존재를 거부 (...) 상대적인 공간과 운동만이 존재함을 강조 (...) 유한한 속도를 지닌 빛의 진행 시간 (...) ‘동시적으로 보인 것'과 ‘동시적으로 발생한 것' 사이의 차이를 구분 (...) 절대시간을 부정 (...) 선험적 형이상학적 규정으로서의 시간-공간의 절대성에 대한 거부[0113_1] (...) 특수상대성이론의 두 원리 (...) 물질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독서노트]<공간에 대한 철학적 이해>#011_4장 아인슈타인의 시공간과 유물론(p.105~p.130)_02 2. 아인슈타인의 상대론적 시공간[0109_2] (...) 아인슈타인의 상대론적 시공간개념 (...) 상대성이론의 원리들로부터 규정된 물리적 개념이자, 이차적-파생적 개념[0109_3] (...) 상대성이론 (...) 일정한 상대속도 혹은 상대가속도로 움직이는 계 상호 간에서의 물체의 운동(상태)을 기술하는 물리 이론 (...) 뉴턴의 고전역학에서도 이의 모태가 되는 상대성원리(흔히 갈릴레오의 상대성원리라 부름) (...) 등속직선운동을 하는 모든 좌표계(관성계)에서는 역학 법칙은 항상 동일하게 작용한다는 원리 (...) 상대성이론은 이 원리를 확대 적용함과 아울러 질적으로 새로운 형태로 일반화[0110_1] (...) 뉴턴의 시간-공간개념에 대한 수정은 철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 (...) 객관적인 ..
[독서노트]<공간에 대한 철학적 이해>#010_4장 아인슈타인의 시공간과 유물론(p.105~p.130)_01 0. 서론[0105_1] 시간과 공간이 인간의 주관적 사유의 산물로서 하나의 관념적 실체인가, 아니면 물질세계에 속하는 객관적 실재인가 (...) 뉴턴이 고전역학의 인식론적인 기초전제로 절대적 시간-공간개념을 제시 (...) 다양한 견해로 발전 (...) 논의는 주로 자신들의 철학적 견해에 입각하여 뉴턴의 시간-공간개념을 옹호하거나 거부하는 관점에서 시간과 공간을 해석하는데 그쳐[0106_1] 한편 아인슈타인에 의한 상대성이론의 발전 (...) 이전 시기와는 달리 시간-공간에 관한 철학적 논의는 시간-공간과 기하학과의 관계, 기하학과 물질세계와의 관계, 그리고 시간-공간과 물질 및 운동의 통일성 등의 문제를 포함 (...) 마하(Ernst Mach)의 견해 (...) 푸애카레(Henri Poincare)..
[독서노트] <공간에 대한 철학적 이해>#009_3장 근대의 자연 공간과 인식 공간(p.63~p.104)_05 4. 공간의 선험성: 칸트의 순수직관의 형식으로서의 공간ii. 선험적 공간의 문화적 의미[0097_1] 현대물리학과 수학에서 기하학적 공간은 칸트의 생각처럼 선천적인 것이 아니라 경험적인 것으로 논의 (...) 가우스가 3차원을 공간의 고유한 성질이 아니라 인간 영혼의 고유한 특징으로 묘사 (...) 칸트는 공간을 3차원적 연장으로 한정하여 규명 (...) 푸앵카레(Henri Poincare) (...) “측정은 공간 자체에 대한 측정이 아니라 공간 안에 경험적으로 주어진 물리 대상에 대한 측정이다.” (...) 리만은 (...) 물질을 공간 속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공간 구조를 형성하는 작용인으로 파악 (...) 칸트의 선험 공간은 물리적 공간의 특징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공간적 ..
[독서노트] <공간에 대한 철학적 이해>#008_3장 근대의 자연 공간과 인식 공간(p.63~p.104)_04 4. 공간의 선험성: 칸트의 순수직관의 형식으로서의 공간i-1. 공간론적 전회 (1) 주관적 표상으로서의 공간[0090_2] 연장을 가진 개별 원소 (...) 원소의 운동이 일어나는 장소로서 세계 (...) 절대공간론의 주장 (...) 형태와 연장을 규정할 수 없는 단순 실체 (...) 모나드들의 공존 관계들이 공간이라는 상대공간론의 주장 (...) 양자의 상반된 형이상학적 근거를 해소하기 위해 (...) 칸트는 외부로부터 공간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주관으로부터 공간을 해명하는 전회를 시도함 [0091_1] (...) 오랜 논쟁이 공간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서 비롯 (...) 공간이 주관적 표상이기 때문에 감성계로서 유한한 세계와 무한한 공간이 주관에 종속된 표상 (...) 사유하는 주관이 제거된다면 물..
[독서노트] <공간에 대한 철학적 이해>#007_3장 근대의 자연 공간과 인식 공간(p.63~p.104)_03 3. 공간의 객관성: 데카르트의 연장 공간i. 공간의 연장성[0082_1] 데카르트는 물체의 본성을 이루는 연장과 공간이 동일하다는 새로운 공간개념을 제시 (...) 연장을 양(quantity)과 동일한 것으로, 그리고 연장이 차원(dimension), 단위(unity) 및 형태(figure) 등으로 분석된다 (...) 점, 선, 면, 입방체 등의 기하학적 개념들을 통해서 공간을 분석 (...) 공간은 거리와 방향, 경계들로 구획되고 배열되면서 측정되고 객관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대상[0083_1] (...) 두 측면에서 논의를 전개 (...) 공간에 대한 잘못된 선입견에 대한 지적이고, 다른 하나는 빈 공간이 생겨날 수 없는 원소들의 특성에 대한 설명[0083_2] (...) 연장을 “길이, 넓이, 깊..
[독서노트] <공간에 대한 철학적 이해>#006_3장 근대의 자연 공간과 인식 공간(p.63~p.104)_02 1. 절대공간론의 과학: 뉴턴의 절대적 공간ii-1. 뉴턴의 절대공간론 (1) 절대공간의 속성[0069_1] (.....) 공간을 측정되고 표기될 수 있는 연장체로서의 상대적 공간과 표기될 수도 측정될 수 없는 연장체로서 절대공간을 구분 (.....) 절대공간은 주관과 관계없이 그 자체적으로 존재하는 실재 (.....) 절대공간은 경험적으로 측정될 수도 없고 관찰될 수도 없지만, 부동적이고 불변적이며 무한한 절대적 실재 ii-2. 뉴턴의 절대공간론 (2) 가상디, 파트리티우스, 캄파넬라의 영향[0070_1] (.....) 고대 원자론을 재생시킨 피에르 가상디(Pierre Gassendi, 1592~1655)의 형이상학적 고찰에서 영향 (.....) 공간이 물질에 앞서 존재하고 물질적 물체를 관찰하는 시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