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노트/2017 모음

[독서노트] <공간에 대한 철학적 이해>#009_3장 근대의 자연 공간과 인식 공간(p.63~p.104)_05

4. 공간의 선험성: 칸트의 순수직관의 형식으로서의 공간

ii. 선험적 공간의 문화적 의미

[0097_1]   현대물리학과 수학에서 기하학적 공간은 칸트의 생각처럼 선천적인 것이 아니라 경험적인 것으로 논의 (...) 가우스가 3차원을 공간의 고유한 성질이 아니라 인간 영혼의 고유한 특징으로 묘사 (...) 칸트는 공간을 3차원적 연장으로 한정하여 규명 (...) 푸앵카레(Henri Poincare) (...) “측정은 공간 자체에 대한 측정이 아니라 공간 안에 경험적으로 주어진 물리 대상에 대한 측정이다.” (...) 리만은 (...) 물질을 공간 속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공간 구조를 형성하는 작용인으로 파악 (...) 칸트의 선험 공간은 물리적 공간의 특징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공간적 사물들을 이해하는 방식에 대한 해명

[0098_1]   칸트의 선험 공간론은 기하하적 연장 공간을 구축하려는 근대 공간론들의 정점 (...) 공간의 질적 차이를, 즉 다양한 이미지를 지닌 공간적 특성을 무시하고 간과 (...) 르네상스의 예술 공간론은 공간에서 기하학적 성격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미지들을 해명하며 다채로운 공간을 표현 (...) 근대 공간론들은 공간의 기하학적 연장개념만을 추출하여 뼈대만 남기고 공간의 다양한 의미들을 상실

[0098_2]   공간에 자연을 종속시킴 (...) 공간의 주관화에 함축된 심층적 의미를 칸트 스스로 간과 (...) “공간이 인간에 대해서 가지는 다양한 의미들"에서 오직 하나의 의미, 즉 “동질적이고 일원적인 공간"이란 특성만을 남겨 (...) 공간을  수치적 크기로 환원 (...) 자연을 주관적 공간 논리에 맞추어 제멋대로 재단하는 데에 논리적 근거로 제공

[0099_1]   (...) 칸트의 선험 공간론은 뉴턴의 절대공간을 주관 안으로 끌어들여 공간의 주관화를 성취 (...) 공간의 기하학적 구조와 기하학적 공간 명제의 필연성을 현실 속에 적용하는 데 몰두하여 공간의 객관화도 성립 (...) 공간의 근원이 주관에 있음을 일깨워 (...) 공간이 여러 차원에서 이해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 (...) 그는 공간이 균질적이고 동일한 차원을 가져야 한다는 믿음 때문에 그 가능성을 스스로 차단



5. 결론

[0100_1]   근대 공간론들의 특징은 기하학적 연장 개념을 밑바탕에 깔고 있다 (...) 점, 선, 면, 입방체 등의 개념들이 근대의 여러 공간론들에서 중요한 기반으로 채택되고 활용 (...) 근대 공간론은 공간을 거리와 방향, 경계들로 배열하고 구획 (...) 공간은 기하학적-수학적으로 해석되고 재구성 (...) 근대 인문학적 이상이 잠복 (...) 공간을 자연에 종속시키는 것이 아니라 자연을 공간에 배속함으로써 자연에 대한 인간의 주권을 선언

[0100_2]   (...) 절대공간론이 보편적인 관점으로 우위를 서면서 공간에 대한 인간의 소외를 극대화 (...) 공간이 인간적 입장보다 객관적 법칙에 따라서 측정되고 재단되면서, 인간이 공간에 종속되는 전도된 결과로 변질 (...) 공간소외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실마리 (...) 공간과 인간의 공속성에 대한 자각 (...) 자연 공간과 인식 공간은 일종의 대극점 (...) 공간을 연장으로 이해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토대 (...) 공간과 인간의 공속성에 대한 자각은 자연 공간론의 반대 짝(counterpart)이었던 인식 공간론에서, 즉 상대공간론에서 발견 (...) 라이프니츠의 상대공간론 (...) 공간 (...) 사물들의 관계로서 주관에게 실재한다 (...) 칸트의 선험공간론 (...) 공간이 사물경험(외적 경험)의 형식으로 실재한다 (...) 선험적 관념론이 동시에 경험적 실재론 (...) 공간의 다원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실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