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R 독서모임/2017-02 표면으로 읽는 건축

[독서모임/준비] <표면으로 읽는 건축>#001_01 피복의 시각화(p.019~p.054)_03

iii. 표상과 생산(p.034~p.036)

[0034-1]

01. 기술과 표현 사이의 대립 관계


[0034-2]

01. 구체를 피복함이라는 감춤과 드러냄의 이중성

02. 대량생산 방식과 미학적 의미


[0034-3]

01. 피복의 생산 체제의 결과물로서의 일반성과 설치된 이후 표상함을 통해 얻게되는 특수성

02. 경제적 생산과 시공을 위한 반복성 >>> 표상을 통해 얻는 독특한 표현 요소


[0035-1]

01. 익명성과 몰개성의 차이

02. 추상화 >> 정형화 >> 1) 익명성 or 2) 몰개성


[0035-2]

01. 정형화된 행위와 표현으로 이루어진 일상성

02. 반복적 요소, 바우하우스 건축가와 오늘날의 건축가에게 다른 함의


[0036-1]

01. 단일화 축소화라는 분절의 과정 >> 각 요소의 역할의 범위와 절차의 분절

02. 단순화를 통한 합리적 생산과정으로 탄생한 일반성의 산물에서 찾는 미학적 가능성, 미니멀리즘



iv. 미니멀 표면(p.036~p.042)

[0036-2]

01. 반복적 요소의 "연속성과 간극"에 드러난 반위계적 구조가 지시하는 "세상의 이치"의 발견

02. 표현된 오브제가 아닌 "발견된 오브제"

03. 건축 피복과의 논리적 연계, 표상이 아닌, 배열과 배치가 만들어내는 특정한 상황에서 의미 "발견"


[0037-1]

01. 반예술, 예술의 수단과 목표의 관계 재고

02. 예술 행위의 수단이 바뀌자, 예술의 목적도 변화, 예술의 역사는 "작업 방식의 역사"

03. 새로운 예술 행위의 형식, 새로운 생산 방식과 기술이 만든 재료의 "구축(constructing)"


[0038-1]

01. 구체 예술(concrete art), 예술 생산에 투입된 수단의 자기 충족성

02. 묘사나 표상이 아닌, 순수한 작품 구성


[0038-2]

01. 구체 예술의 건축 적용, 자유로운 배치, 형태, 색채

02. (표상 아닌) 물성 자체에서 도출된 미적 요소


[0039-1]

01. 20세기 초반, 반복에 대한 다른 인식 등장

02. 르 코르뷔지에의 퓨리즘, 미학 아닌 합리성 측면 강조

03. 비예술적 과정을 통해 나온 미학적 "생산물"


[0042-1]

01. 건축 피복, 미학적 의도의 산물인가, 기술적 필요성의 결과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