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ular
-
Social Housing
[해외사례] #003 Quinta Monroy / ELEMENTAL
Type / Location : Social Housing / Iquique, Chile Architect : Alejandro Aravena, ELEMENTAL Area : 5,000m² Year : 2003 The Chilean Government asked us to resolve the following equation: 칠레 정부가 아래와 같은 방정식에 대한 해답을 요구했다 : To settle the 100 families of the Quinta Monroy, in the same 5,000 sqm site that they have illegally occupied for the last 30 years which is located in the very center of Iquique, ..
-
2020-2 현대건축 흐름과 맥락
[독서노트] <현대건축 흐름과 맥락>#005 표현주의
표현주의 [0024-1~4] 색채와 형태의 다양성으로 나아가다 01. 1905년, 회화 영역 야수파, 다리파와 거의 동시에 등장한 완전히 새로운 경향. 그로피우스의 기능적 형태언어(functional formal language)와 더불어 또 하나의 모더니즘 사조인 표현주의 활동적인 언어(mobile language). 02. '벽돌'과 '유리'를 주 재료로 사용. 1)유리와 크리스털 표현주의(Glass and Crystal Expressionism), 브루노 타우트의 유리 파빌리온 이상주의적 건축 프로젝트가 대표적, 2)벽돌조 표현주의는 1920년 특히 북해연안 국가에서 성행, 고딕까지 거슬러 오르는 전통, 다양한 색깔의 벽돌 생산 및 개별적 생산으로 인한 소규모 상세한 표현주의 장식에 적합. [002..
-
2018-02 건축강의 1 - 건축이라는 가능성
[세미나자료] 『건축강의 1 - 건축이라는 가능성』#001_01 건축을 생각하는 조건(p.034~p.075)
01 건축을 생각하는 조건 1. 생활 i. 지속하는 생활(p.035~p.036) [0035-1]01. 바닥과 벽으로 둘러싸이고 천장이나 지붕으로 에워싸인 공간02. 건축은 중력에 대항한다는 특성으로 인해 형태가 추상적, 견고, 냉정 [0035-2 ~ 0036-2]03. 건축은 시간에 관한 것, 성장하고 변하는 것04. 라스무센의 『건축예술의 체득』, "사람이 집 안에서 잘 자라지 못한다면 눈에 보이는 아름다움은 아무 쓸모없게 될 것"05. 일상, 수많은 약속과 목적 또는 습관으로 성립하는 세계06. 건축은 수많은 사람들이 함께하는 일상의 바탕, 한정된 예술적 판단이 기준 될 수 없음 ii. 살아가는 방식(p.036~p.038) [0036-3]01. 집, 사람이 사는 공간, 신체와 같은 것 [0037-1 ..
-
2020-2 현대건축 흐름과 맥락
[독서노트] <현대건축 흐름과 맥락>#004 근대화와 산업화, 신고전주의, 페터 베렌스
첫 번째 모던 1910-1920 근대화와 산업화 [0018-1~3] 제1차 세계대전 중 제국주의 시대의 종말 01. 19세기 말, 힘겹게 맞춰진 열강들의 균형에 다시금 변화 일어나기 시작. 군비 경쟁, 정치적 극렬 민족주의, 경제적 보호 무역. 02. 1914년 6월, 사라예보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황태자 암살사건 시작으로 제1차 세계대전 발발, 1789년 프랑스혁명에서 시작된 '지루한 19세기'의 종말. [0018-4~0019-2] 독일공작연맹 01.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획득을 위한 영국을 상대로한 독일의 산업화 전략 일환으로 영국 윌리엄 모리스의 수공예운동과 상반되게, 독일은 산업화, 기계화 채택. 뛰어난 디자인의 질 높은 생산품 목표로 산업가, 예술가, 공예가들의 복합적 노력으로 1907년 독..
-
2020-2 현대건축 흐름과 맥락
[독서노트] <현대건축 흐름과 맥락>#002 아르누보
아르누보 [0010-2~0011-1] 유럽 전체로 퍼져나간 식물형태 01. 역사주의가 새로운 시대를 표현할 뚜렷한 양식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람들은 "자연"으로 눈을 돌림. 특히 프랑스 화가들 화실을 벗어나 자연에 열중하는 와중에 새로운 회화 주제 및 표현방식 획득. 02. 나무의 구부러진 선, 꽃잎 등을 장식(ornamentation)상의 새로운 형태언어 및 2차원 상으로 환원. 이러한 새로운 형태가 새로운 재료인 유리, 철과 결합하여 건축에서도 새로운 형태언어 만들어짐. 03. 독일에선 이 새로운 양식을 예술잡지 를 따라 유겐트슈틸(Jugentstil)이라 명명. 3명의 건축가, 리하르트 리머슈미트, 브루노 파울, 아우구스트 엔델이 새로운 예술 운동의 중심. 04. 1800년대 고전주의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