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모임 2018

(4)
[세미나자료] 『건축과 감각』#002_02 제 이장(p.058~p.105)_03 x. 근육과 뼈의 이미지(p.088~p.091) [0088-2 ~ 0088-3]01. 촉감적 기억으로 축적된 신체 지혜에 근거한 전통 기술, 편안, 보호, 거주의 감각은 오랜 세월에 걸쳐 형성된 감각02. 기능적, 의식적, 지적 요구만을 수용한 현대 건축은 우리 내면의 '원시성'에 반응 X, 몸에 벤 "사냥꾼"과 "농사꾼"에 반응하는 건축 [0089-1 ~ 0089-3]01. 거리와 저항, 긴장의 감각과 편안함의 감각의 공존, 다다오는 이를 건축의 기능과 "쓸모없음" 사이의 긴장과 대립으로 표현 xi. 행동의 이미지(p.091~p.093) [0091-1 ~ 0093-2]01. 건축을 다른 예술과 구분하는 행동의 가능성, 몸의 반응은 건축 경험의 분리할 수 없는 요소인 암시된 행동의 결과02. 시각요소나 ..
[세미나자료] 『건축과 감각』#002_02 제 이장(p.058~p.105)_02 v. 청각적 친밀감(p.071~p.075) [0071-1 ~ 0074-2]01. 포괄적, 무지향적 성격의 청각, 구강문화 상실한 현대인은 우주의 중심에 대한 감각 상실02. 청각, 공간 이해, 평가 및 경험의 구조화에 관여, 허나 청각은 무의식적 배경 취급 [0075-1 ~ 0075-2]01. 청각은 연결과 연대의 감각 창출, 도시 속 소리로 자신을 둘러싼 공간을 쓰다듬음02. 각 도시별 고유한 울림, 현대 도시의 개방적 공간과 음악 소리는 청각에 의한 공간 지각 및 이해력 소거 vi. 침묵, 시간 그리고 외로움(p.076~p.079) [0076-1]01. 강력한 건축 경험은 침묵에 이르고, 이는 존재 자체에 대한 관심과 고독으로 이끄는 힘 [0076-2 ~ 0078-3]01. 속도의 증가에 따른 시,공..
[세미나자료] 『건축과 감각』#002_02 제 이장(p.058~p.105)_01 02 제 이장 i. 도입(p.059) [0059-1 ~ 0059-2]01. 과학기술적 합리성의 추상화 및 보편화, 관리, 조직, 대량생산의 패턴이 시각적 편향 지지02. 관건은 시각의 부정 X, 다른 감각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지각체계 내적 복합성, 포괄적 조형성 회복 ii. 경험 한 가운데 있는 몸(p.059~p.061) [0059-3 ~ 0060-3]01. 몸과 세계의 변증법적 작용, 몸 전체를 사용한 동시적 경험이 자연스러운 지각 획득02. 몸을 매개로 통합되는 감각 경험, 몸(지각)과 몸을 둘러싼 세계는 분리 X, 하나로 합쳐져 실존적 감각을 굳건히 함03. 시각상은 본래적 신체상에서 파생, 오늘날 주거는 몸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 결여 iii. 여러 감각이 관여하는 경험(p.061~p.068) [..
[세미나자료] 『건축과 감각』#001_01 제 일장(p.022~p.057)_01 01 제 일장 i. 시각과 지식(p.024~p.031) [0024-1 ~ 0026-3]01. 시각의 우월한 지위, 보는 것은 인식에 있어 가장 중요한 감각02. 이러한 우월성은 인식적 편향의 결과, 서구 문화는 시각 중심적 패러다임의 지배 [0026-4 ~ 0030-1]01. 건축함에 있어 시각의 역할 다른 감각과 관련하여 비평 필요02. 건축, 인간을 시,공간에 연계시키는 수단, 무한의 시,공간 속 인간은 건축을 통해 견디고 거주함03. 레빈의 시각의 헤게모니 비판, 시각적 근거에 쏠린 우리 존재에 대한 이해, 이는 도구적 이성과 합하여 시각 중심 형이상학 형성04. 현대 건축과 도시의 비인간성, 시각에 편중된 나머지 몸과 감각을 방치한 결과 ii. 시각중심주의 비판자들(p.031~p.035) [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