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노트 2017

(50)
[독서노트]<공간에 대한 사회인문학적 이해>#020_3부 9장 푸코의 헤테로토피아(hétérotopie)(p.244~p.265)_04 3. 평가: 비판적 논의와 전망 i. 푸코의 기획과 헤테로토피아 개념의 퇴색[0259_1] 헤테로토피아는 ‘특이성(단독성, singularite)을 자신의 특성으로 갖는 공간들’ (...) ‘절대적으로 다른’ 공간, 복수적-다수적-분산적 곧 이질적 공간 (...) 한 사회가 ‘일상적인 것’ 혹은 때로는 ‘정상적인 것’으로 규정한 한계의 바깥에 위치하는 무엇인가에 관련되는 공간 (...) 한 사회의 동질적기능 작용에 균열을 내는 이질화, 복수화, 다수화의 기능을 수행 (...) 한 사회의 정상적 기능 작용에 균열을 내는 이의제기 작용, 곧 기존의 ‘당연’에 대한 문제화(problematisation)를 수행 (...) 뉴턴-데카르트-칸트적으로 이해된 실체적 ‘공간’을 ‘차이’(difference) 및 ‘타..
[독서노트]<공간에 대한 사회인문학적 이해>#019_3부 9장 푸코의 헤테로토피아(hétérotopie)(p.244~p.265)_03 2.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정의 ii-4. 헤테로토피아의 특성 (4) 헤테로크로니아[0253_1] 넷째, 헤테로토피아 (...) 특정한 방식의 ‘시간적 분할’과 연결 (...) ‘헤테로크로니아’ (...) 서구 문명 (...) 헤테로토피아와 헤테로크로니아는 상대적으로 복합적인 방식으로 구성되는 경향 (...) 영원한 헤테로토피아 (...) ‘더 이상 시간이 흐르지 않는 장소’인 묘지 (...) 박물관은 ‘무한히 쌓여가는 시간의 헤테로토피아들’ (...) 소유자의 ‘개성’이 발현된 장소였던 17~18세기와 달리 근대적인 발상은 이와는 사뭇 다른 ‘보편주의적’ 야심 (...) 모든 것을 축적한다 (...) 시간을 정지시킨다 (...) 어떤 문화에 대한 보편적인 아카이브를 구축한다 (...) 모든 취향을 하나..
[독서노트]<공간에 대한 사회인문학적 이해>#018_3부 9장 푸코의 헤테로토피아(hétérotopie)(p.244~p.265)_02 2.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정의 ii-1. 헤테로토피아의 특성 (1) 헤테로토피아가 없은 사회는 없다[0248_3] 첫째 (...) 자신만의 헤테로토피아가 없는 인간 사회는 존재하지 않는다. 모든 사회 (...) ‘정상적’ 기능으로 규정하는 호모토피아를 갖듯 (...) 이상향으로 갖는 유토피아를 갖듯 (...) 자신만의 고유한 헤테로토피아를 갖는다. (...) ‘자신만의 고유한’ 이라는 표현은 매우 중요 (...) 오직 개체와 총체의 동시적-상관적 발생만을 인정하는 푸코 (...) 한 사회가 주어진 시점에서 갖는 호모토피아, 헤테로토피아에 의해 ‘다른 어떠 사회가 아닌 바로 그러한’ 사회와 그 사회에 속하는 부분들, 개체들의 속성이 상호적-동시적으로 규정[0249_1] 헤테로토피아 (...) 모든 사회의..
[독서노트]<공간에 대한 사회인문학적 이해>#017_3부 9장 푸코의 헤테로토피아(hétérotopie)(p.244~p.265)_01 1. 들어가면서: 문제 제기 [0245_1] (...) 개념을 이해한다 (...) 그것이 탄생한 인식론적-실천적 장의 이해 (...) 헤테로토피아 개념에 대한 명확한 이해만큼이나, 헤테로토피아의 개념이 탄생한 장 자체에 대한 이해 (...) 푸코 자신의 일차 저술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 개념에 대한 다양한 정의들을 살펴봄으로써 개념의 정확한 이해에 주력 (...) 일정한 비판적 논의 (...) 생산적 사용의 가능성에 대한 논의 2.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정의 i. 푸코의 세계와 헤테로토피아[0246_2] 헤테로토피아 (...) ‘주어진 사회 공간에서 발견되지만 다른 공간들과는 그 기능이 상이하거나 심지어 정반대인 단독적(singulier) 공간' (...) 유토피아(utopie)에 대비되는 개념 (...)..
[독서노트]<공간에 대한 사회인문학적 이해>#016X_2부 6장 하비의 시공간 압축(p.166~p.188)_03 4. 시공간 압축과 포스트모더니티 [0178_1] 마르크스는 자본주의적 근대성을 ‘견고한 모든 것이 공기 속에 녹아 버리는’ 세계로 서술 (...) ‘견고한 모든 것’ (...) 숭고한 가치들, 영원성과 불멸성, 절대적 진리, 본질적 인간성에 대한 믿음 등 (...) 자본주의 역사가 생활의 속도에서 가속화되는 경향 (...) 시공간 압축의 효과는 견고한 모든 것이 ‘녹아 버리거나’ 또는 ‘무너지는’ 느낌을 가지도록 (...) 특이한 가변성(volatility), 즉 사회적 변화 리듬의 가속화 (...) 자본축적의 쉼 없는 팽창을 통해 점차 지구화되는 공간경제의 구조에서의 광범위한 전환과 연계[0178_2] (...) 한편으로 공간 및 시간 차원들이 자본 순환과 축적의 지속적인 압박에 의해 어떻게 가속적으..
[독서노트]<공간에 대한 사회인문학적 이해>#015_2부 6장 하비의 시공간 압축(p.166~p.188)_02 3. 시공간적 압축과 자본축적 [0173_1] 하비의 시공간 압축 개념 (...) 역사지리적 유물론에 바탕 (...) 시공간 압축은 (...) 자본주의 경제발전과 포스트모더니티의 가장 핵심적 조건으로 작동 (...) 하비는 마르크스가 자본주의 하에서 시간에 의해 공간이 어떻게 절멸되는가(annihilate)를 보여주고자 했다는 점에 착안 (...) 마르크스 (...) “자본은 한편으로 (...) 전체 지구를 자본의 사장이 되도록 정복하고자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시간으로 공간을 절멸시키고자 한다. (...) 자본이 더욱 발전할수록, 자본은 동시에 시장의 더 큰 불균등한 팽창과 시간에 의한 공간의 더 큰 절멸을 더욱 추구하게 된다.”[0174_1] 하비 (...) “시공간 압축은 시간을 통한 공간의 절멸과..
[독서노트]<공간에 대한 사회인문학적 이해>#014_2부 6장 하비의 시공간 압축(p.166~p.188)_01 1. 개념의 배경 [0167_1] (...) 지구화 과정 (...) 물리적 거리 이동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의 단축 효과와 이에 따른 사회의 급속한 변화는 일상생활에서 공간이 이제 더 이상 중요하지 않은 것처럼 인식 (...) ‘거리의 소멸’, ‘지리(학)의 종말’ 같은 주장 [0167_2] (...) 공간은 사라진 것이 아니라 역동적으로 재편 (...) 경제적,정치적 활동의 공간은 지구적 규모로 확장 (...) 개별 도시나 지역들은 지구적 규모로 작동하는 경제적, 정치적 힘에 의해 전면적으로 재구성 (...) 공간(그리고 시간)에 관한 우리의 인식을 변화 (...) 시공간 압축(time-space compression)의 개념 (...) 사회 공간적 변화를 개념화하기 위해 제시한 핵심적 용어 (...) ..
[독서노트]<공간에 대한 사회인문학적 이해>#013XXX_2부 5장 앙리 르페브르의 변증법적 공간론(p.143~p.165)_03 4. 도시와 공간 i. ‘일상생활' 연구와 마르크스주의 재해석[0146_1] 5. 항구적 문제로서 공간의 진리 i. ‘일상생활' 연구와 마르크스주의 재해석[0146_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