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들어가면서: 문제 제기
[0245_1] (...) 개념을 이해한다 (...) 그것이 탄생한 인식론적-실천적 장의 이해 (...) 헤테로토피아 개념에 대한 명확한 이해만큼이나, 헤테로토피아의 개념이 탄생한 장 자체에 대한 이해 (...) 푸코 자신의 일차 저술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 개념에 대한 다양한 정의들을 살펴봄으로써 개념의 정확한 이해에 주력 (...) 일정한 비판적 논의 (...) 생산적 사용의 가능성에 대한 논의
2.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정의
i. 푸코의 세계와 헤테로토피아
[0246_2] 헤테로토피아 (...) ‘주어진 사회 공간에서 발견되지만 다른 공간들과는 그 기능이 상이하거나 심지어 정반대인 단독적(singulier) 공간' (...) 유토피아(utopie)에 대비되는 개념 (...) ‘현실적인 동시에 신화적인’ 공간들, ‘위치를 가지는 유토피아들', ‘자기 이외의 모든 장소들에 맞서 (...) 그것들을 지우고 중화시키고 혹은 정화시키기 위해 마련된 장소들’은 일종의 반(대항) 공간(contre-espaces) (...) 헤테로토피아를 연구하는 과학(science)이 헤테로토폴로지(hétérotopologie, 이질적 위상학) (...) 시간에 대한 과학인 헤테로크로니아(hétérochronie, 이질적 연대기)와 짝 (...) 대립되는 호모토피아(homotopie, 동질적 공간), 호모크로니아(homotopie, 동질적 연대기)를 상정 (...) 이상적 시간으로서의 유크로니아(uchronie) 개념
[0247_1] (...) 푸코의 세계 (...) 일상적이고 동질적인 기능 (...) 현실적인 공간인 호모토피아 (...) ‘완벽한 비실재적-비현실적 공간'인 유토피아 (...) ‘절대적으로 다른' 헤테로토피아라는 세 개의 공간이 존재 (...) ‘아이들은 이미 완벽하게 알고 있는' 것 (...) “그것은 당연히 정원의 깊숙한 곳 (...) 당연히 다락방이고, 더 그럴듯하게는 다락방 한가운데 세워진 인디언 텐트 (...) 부모의 커다란 침대 (...) 침대에서 아이들은 대양을 발견 (...) 하늘이기도 (...) 그것은 숲 (...) 그것은 밤 (...) 마침내 쾌락 (...) 어른의 사회는 아이들보다 훨씬 먼저 자기만의 반공간, 자리 매겨진 유토피아, 모든 장소 바깥의 실제 장소들을 스스로 조직 (...) 정원이 있고 묘지가 있고 감호소가 있고 사창가가 있고 감옥이 있고 클럽 메드의 휴양촌이 있고 (...)”
[0248_1] (...) 푸코가 헤테로토피아에 부여하는 정의 (...)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 (...) 실체적 개념이 아니라, 오직 실재성의 여부에서는 호모토피아 및 유토피아와의 차이에서 (...) 시-공의 측면에서는 호모크로니아와의 차이에 의해서만 구분 가능 (...) 이러한 차이들을 적절히 지시해내기 위해 적절한 방식으로 고안된 이론적 고안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