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모임/준비] <건축; 형태를 말하다> 07 결론(p.110~p.120)
07 결론01. 20세기 말, 자의성의 잦은 재출현.02. 19세기 후반 이론가, 역사가들의 노력과 논리 실증주의의 부합, 그들에게 고딕 양식은 합리성의 정수.03. 1차대전 이후, 아카데미 전통의 종식, 20세기 초 아방가르드 작가들의 출현. 르 코르뷔제와 미스 반 데어 로에.Q-01. 이론가와 역사가들의 노력에도 교육기관을 통해 교육되던 아카데미 전통은 그들에게 자의적으로 느껴졌나?04. 고전 오더들의 자의성을 잊게할 새로운 보편 언어의 성취.05.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과성과 유사한 기능주의. 르 코르뷔제의 5원칙.06. 미스의 추상 공간을 위한 보편적, 결정적 언어의 정초 의지.07. 20세기 말, 이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자의성(헤이덕, 스털링, 게리, 아이젠만 등).08. 개별적 자유가 주도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