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돌프 로스
[0015]
01. 여러 원칙 영향 벗어난 '순수 건축' 탐구. 건축은 3차원 예술 아닌 공간 구성. 스터코같은 장식적 요소 거부 캠페인, 동료들에게 건물 용도의 기술적 측면에 집중할 것 요구. 작가 카를 클라우스의 평생 친구.
02. 모라비아 브륀 태생. 처음엔 영국 수공예 운동 전통 고수하는 비엔나 제체션 일원으로 활동. 소위 'Coffee house trio' 즉, 요제프 마리아 올브리히, 요제프 호프만과 함께 유겐트슈틸의 열렬한 지지자였음. 그러나 1898년, 어떤 원칙 문제로 써클 탈퇴.
03. 이후, 장식의 배제가 정신적 힘의 상징 <문화의 진화란 실용 물체에서 장식을 제거하는 것> 논문 제출. 예술에서 분리됨으로 예술, 건축 모두 진실성 강화됨, 이러한 분리가 문화적 근대성의 전제조건(자신의 글에서 장식적 대문자 모두 없애고 모든 글 소문자로 작성 일화).
04. 드레스덴 공부 시절 3년간 미국 체류, 시카고파와 만남 및 루이스 설리번 이론 연구. 설리번 <건축의 장식>에서 "몇 년 후에는 건축의 장식적 요소들 포기해야 (...) 불필요하게 기능과 형태, 재료, 표현 사이의 유기적 관계 방해하기 때문". 로스는 장식은 사회적, 경제적 낭비라고 주장.
05. 로스의 <미하엘러플라츠 건물>, 주상복합. 주변건물 일치 고려하지 않음. 코너에 배치된 건물, 기존처럼 대지에 맞추지 않고 한쪽면을 광장을 향해 배치하여 경제성 능가하는 도시계획적 고려.
06. "공간 계획", 핵심은 건물 내 각 방들을 용도와 표현 정도에 따라 크기 정하고, 각 방의 높이 달리하는 것(영국에서 온 아이디어). 박스 내에 박스들을 조합하고 계단실과 연결시킨 <뮐러주택>. 값비싼 재료의 사용은 "장식이란 술책은 고귀한 재료들의 표현으로 대체되어야 한다"는 주장의 시발점.
07. 묘소, 기념비 같은 극소수의 건축만이 예술의 영역. 이것에는 상징적 성격 외에 어떤 건축적인 감성, 기능 없음 규정.
08. 로스 이론의 확실한 해석가는 로스 자신 아닌, 철학자이자 건축가인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로스의 제자 파울 엥겔만과 함께 1926-29년 장식 없는 큐브 건물 설계.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0016]
01. 가난한 어린 시절, 위스콘신 주립대 3학년 제도강의 까지만 이수, 설리번 사무실에서 일 하기 위해 학교 그만둬야 했음.
02. 1894년 시카고에 사무소 설립, 1906년 일본 여행하며 일본 미술에 깊은 감명, 1910년 유럽 방문 시, 베를린에서 전시회 열고, 바스무트 출판사에서 작품집 출판. 유럽에서 혁신을 자극하는 주요 인물로 등극.
03. 모더니즘 주제에 대해 추상적 , 이론적 접근 아닌 실제 디자인 작업에 의한 실천적 접근. 유럽의 동료들에게 '기계'는 건물 만드는 수단인 반면, 라이트에게 '기계'는 예술을 창조하는 도구. 1924년 기계 생산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 사용하여 모더니즘 정신으로 찰스 에니스 주택 설계. 수공예적 방식으로 기술 사용, 파사드를 마야 스타일로 장식, 유럽의 모더니즘 건축가들 아돌프 로스의 "장식은 범죄" 교시에 따라 거부한 것과 대조적.
04. 라이트 평생의 주제는 유기주의 건축(organic architecture). "건축의 내-외부 및 기능과 건물 존재 이유, 입지와 시기 등 조화될 때, 그 건물은 유기적". <프레리 주택>, 모든 거주공간 벽난로 중심으로 구성, 수평선이 우세한 이 건물 보고 빈센트 스컬리는 "미국인이 자신들의 대륙에서 영원히 살게 되었다는 것을 확신시켜 줌". 1910년 이래, 프레리 주택 유형의 건물 많이 세워짐.
05. 후기 작품, 지형의 특별한 요구와 조화. 1936년, 낙수장으로 유명한 <카우프만 주택>. 물이 흐르는 폭포와 완벽하게 공생하며 건설된 주택.
06. 자연 경관 속에 자신의 설 자리를 찾은 라이트. 1911년 위스콘신 스프링 그린에 있는 선조들의 계곡에 돌아가 1914년, <탤리에신(Taliesin)> 완성. 주거 공간이며, 스튜디오, 또한 농장. 탤리에신 건축학교 정신적 종교집단처럼 운집.
07. 거대 도시에 대한 적대감. "시카고는 춥고, 어둡고 축축하다. 아크등의 푸르스름한 흰 빛이 모든 것을 지배하고 있다." 그 결과 도시적 맥락에 지어진 몇 안되는 건물들 역시 도시를 외면하고 풍부한 내부세계 창조에 집중. 1)뉴욕 버팔로의 <라킨 빌딩>, 외부에선 벽돌 요새, 대형 중정에 상부에서 내려 비추는 빛은 상업적 사옥 계획에 일대 혁명. 2)위스콘신 라신의 <존슨 왁스 사옥>, 건물 내부도로, 버섯 모양 기둥이 연출하는 숲의 분위기, 전체가 한 공간인 인상적인 내부공간 연출.
08. 거대도시에 대항하여 반도시적 대응 모델(anti-urban counter model) 디자인, "유소니아(usonia)" 계획안, 유럽의 전원도시(Garden City)계획과 달리 유소니아는 커뮤니티 아닌, 미국 사회 기반 이루는 "개인의 자유"에서 출발. 주호당 최소 1헥타르 대지면적, 각 개인의 자동차 소유 주장. 1935년 브로드에이커 도시(Broadacre City) 계획 개발.
09. 그러나 그의 계획은 정체불명의 교외 단순하게 활성화는데 그쳐. 라이트는 <증언>이라는 저서에서 "미국은 야만에서 그 사이의 무문화로 퇴보한 유일한 문명"이라며 자신의 실패를 시인.
'독서노트 > 2020-2 현대건축 흐름과 맥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노트] <현대건축 흐름과 맥락>#005 표현주의 (0) | 2020.04.01 |
---|---|
[독서노트] <현대건축 흐름과 맥락>#004 근대화와 산업화, 신고전주의, 페터 베렌스 (0) | 2020.03.20 |
[독서노트] <현대건축 흐름과 맥락>#002 아르누보 (0) | 2020.03.05 |
[독서노트] <현대건축 흐름과 맥락>#001 18,19세기의 뿌리 (0) | 2020.03.02 |
[목차] <현대건축 흐름과 맥락>#000 (0) | 2020.0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