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건축흐름과맥락

(6)
[독서노트] <현대건축 흐름과 맥락>#006 큐비즘, 미래파 큐비즘 [0028-1~4] 프라하 건축 형태적 독립 01-1. 1911년경 프라하, 비엔나 유겐트슈틸 대표 오토 바그너의 명확학 구축적(stereometric)건축 영향과 들로네, 브라크, 피카소 등 형태 급진적 해체-재조립한 입체파 화가 영향. 파리에서 활동하던 들로네 오브제를 큐브, 구, 원 등 기본 기하 형태로 해체 실험 시기. 01-2. 프라하 입체파 건축가들, 입체파 화가들의 작품을 자신들이 설계하는 주택 파사드 영감 원천 삼아, 여러줄의 큐빅, 프리즘 형태로 장식. 거주 가능한 조각. 02. 같은 시기 후기 고딕 건축 인용한 추상적 볼트(vault) 사용, 순수 지역적 표현이란 오해 > 북유럽 표현주의 관련 혹은 다른 독자적 대안으로 재평가. 03-1. 큐비즘 건축 대표주자 요세프 고차르 , ..
[독서노트] <현대건축 흐름과 맥락>#005 표현주의 표현주의 [0024-1~4] 색채와 형태의 다양성으로 나아가다 01. 1905년, 회화 영역 야수파, 다리파와 거의 동시에 등장한 완전히 새로운 경향. 그로피우스의 기능적 형태언어(functional formal language)와 더불어 또 하나의 모더니즘 사조인 표현주의 활동적인 언어(mobile language). 02. '벽돌'과 '유리'를 주 재료로 사용. 1)유리와 크리스털 표현주의(Glass and Crystal Expressionism), 브루노 타우트의 유리 파빌리온 이상주의적 건축 프로젝트가 대표적, 2)벽돌조 표현주의는 1920년 특히 북해연안 국가에서 성행, 고딕까지 거슬러 오르는 전통, 다양한 색깔의 벽돌 생산 및 개별적 생산으로 인한 소규모 상세한 표현주의 장식에 적합. [002..
[독서노트] <현대건축 흐름과 맥락>#004 근대화와 산업화, 신고전주의, 페터 베렌스 첫 번째 모던 1910-1920 근대화와 산업화 [0018-1~3] 제1차 세계대전 중 제국주의 시대의 종말 01. 19세기 말, 힘겹게 맞춰진 열강들의 균형에 다시금 변화 일어나기 시작. 군비 경쟁, 정치적 극렬 민족주의, 경제적 보호 무역. 02. 1914년 6월, 사라예보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황태자 암살사건 시작으로 제1차 세계대전 발발, 1789년 프랑스혁명에서 시작된 '지루한 19세기'의 종말. [0018-4~0019-2] 독일공작연맹 01.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획득을 위한 영국을 상대로한 독일의 산업화 전략 일환으로 영국 윌리엄 모리스의 수공예운동과 상반되게, 독일은 산업화, 기계화 채택. 뛰어난 디자인의 질 높은 생산품 목표로 산업가, 예술가, 공예가들의 복합적 노력으로 1907년 독..
[독서노트] <현대건축 흐름과 맥락>#003 아돌프 로스,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아돌프 로스 [0015] 01. 여러 원칙 영향 벗어난 '순수 건축' 탐구. 건축은 3차원 예술 아닌 공간 구성. 스터코같은 장식적 요소 거부 캠페인, 동료들에게 건물 용도의 기술적 측면에 집중할 것 요구. 작가 카를 클라우스의 평생 친구. 02. 모라비아 브륀 태생. 처음엔 영국 수공예 운동 전통 고수하는 비엔나 제체션 일원으로 활동. 소위 'Coffee house trio' 즉, 요제프 마리아 올브리히, 요제프 호프만과 함께 유겐트슈틸의 열렬한 지지자였음. 그러나 1898년, 어떤 원칙 문제로 써클 탈퇴. 03. 이후, 장식의 배제가 정신적 힘의 상징 논문 제출. 예술에서 분리됨으로 예술, 건축 모두 진실성 강화됨, 이러한 분리가 문화적 근대성의 전제조건(자신의 글에서 장식적 대문자 모두 없애고 모든..
[독서노트] <현대건축 흐름과 맥락>#001 18,19세기의 뿌리 1890-1910 세기 전환기의 건축 - 재고와 충동 18,19세기의 뿌리 [0006-1~0007-1] 새로운 세계 01. 계몽주의 근대 시민들의 중요성과 사회적 지위 향상 02. 19세기는 생활 전반에 영향 준 혁명적 변환의 세기, 산업혁명은 유럽과 북미에서 프롤레타리아 생산 03. 1830년 리버풀 크라운 스트리트역 최초로 승객을 위한 역사 건축, 이후 철도역사는 거대하고 화려한 궁전 같은 건물로 자라나서, 대부분 도시의 경계부에 자리잡음. [0007-2~3] 새로운 건물들 01. 19세기 건축에 표현된 것은 기술 진보 뿐 아니라, 정부기관의 새롭고 민주적인 형태, 각종 의사당 건물, 시청 등은 부르주아들의 자신감을 강하게 표현. 02. 클렌체의 , 스머크의 등 이른바 '뮤즈의 전당'등은 귀족들의 사..
[목차] <현대건축 흐름과 맥락>#000 _옮긴이의 글 2 1890-1910 세기 전환기의 건축 - 재고와 충동 18,19세기의 뿌리 6 아르누보 10 아돌프 로스 15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16 1910-1920 첫 번째 모던 - 개혁과 표현주의 근대화와 산업화 18 신고전주의 22 페터 베렌스 23 표현주의 24 큐비즘 28 미래파 29 1920-1930 국제 양식 - 근대성이 확립되다 제1차 세계대전 후의 건축 30 데 스테일 31 바우하우스 33 구성주의 34 합리주의 대 신고전주의 36 독일의 새로운 건축 37 20세기 도시계획 40 1920-1940 미국 건축 - 하늘로 향하기 토지투기와 건축 엔지니어링 42 유럽이 미국을 만나다 44 아르데코 46 1930-1945 건축과 권력 - 포위당한 모더니즘 힘의 지배 50 1945-1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