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세계적자본주의지역적계획경제

(13)
[독서노트] <전 세계적 자본주의인가 지역적 계획경제인가 외>#004 2. 인간, 자연, 생산 조직 [0068-1] 01. 이중적 운동이 현대 사회 흐름 지배. 시장 체제와는 양립할 수 없는 것. 02. 1914년, 시장 체제 발전 최고조. 새로운 삶의 방식이 보편성을 주장하며 전 세계로 확산. 03. 동시에 반대 운동. 로버트 오언은 시장 경제 진화 내버려두면 “거대하고 영구적인 악을 낳을 것” 경고. 04. 생산은 인간과 자연의 상호 작용. 생산 과정이 자기 조정 메커니즘에 들어가게 되면 인간과 자연은 판매를 위해 생산된 재화 즉, 상품으로 전락. 그에 따라투자되는 자본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해짐. 이론적으로 이는 다양한 생산 영역에서 여러 소득들을 자동으로 평준화시키는데 필수적. 05. 반대 운동의 핵심은 생산 요소인 토지와 노동에 관한 시장의 활동을 억제하는 것. ..
[독서노트] <전 세계적 자본주의인가 지역적 계획경제인가 외>#003 제2장 거대한 변형 중에서 1. 자기 조정 시장 그리고 허구적 상품 : 노동, 토지, 화폐 [0053-1] 01. 이전 시대 시장은 사회에 흡수되어 있었음. 02. 중상주의 처럼 시장이 발달한 경우도 중앙집권화된 행정 체제의 통제 아래서만 번성, 농민들의 가정경제는 자급자족을 장려. 03. 자기 조정 관념의 출현, 중상주의의 일반적 경향에 정반대되는 것 [0054-1] 01. 시장 경제란 오로지 시장만이 통제, 조정, 방향 설정하는 경제 체제. 이는 “인간은 가장 큰 화폐 이익을 얻기 위해 행동한다는 생각에 바탕” 02. 시장 체제의 가정들 1)재화의 공급이 그 가격에서의 수요와 일치, 2)구매력의 기능을 갖는 화폐, 3)이윤이 가격에 의해 결정되므로 가격이 생산을 통제, 4)생산된 재화는 소득에 의해 ..
[독서노트] <전 세계적 자본주의인가 지역적 계획경제인가 외>#002 2. 경제 결정론 [0039-1~2] 01. 시장 메커니즘, 경제 결정론이 모든 인간 사회에 적용되는 일반 법칙이라는 착각 낳음. 02. 실제로 시잘 경제 체제 하에서는 경제 체제의 작동이 사회의 나머지 영역 결정 지어버림. 03. 시장이 각 사회 계급의 소득을 결정 -> 소득이 사회 계급의 지위를 결정 04. “경제 체제가 사회적 관계 속에 묻어 들어가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관계가 경제 체제에 묻어 들어가 있는 것.” 05. 국가, 정부, 교육, 종교, 예술 그 밖의 모든 것이 공리주의적 패턴에 순응해야 했고, 시장 메커니즘의 작동 방해해서는 안되게 됨. 06. 이로써 시장 체제가 미치는 영향이 사회 전체를 결정짓게 되었고, “‘경제적’인간이 ‘실제’의 인간이듯 경제 체제가 바로 ‘실제의’ 사회라는..
[독서노트] <전 세계적 자본주의인가 지역적 계획경제인가 외>#001 제1장 낡은 것이 된 우리의 시장적 사고방식 [0023-1] 01. 기계제 시대, 물질적 성공은 인간이 기계의 요구에 기꺼이 복종하여 이룬 것. 02. 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산업혁명에 대한 인간의 최초의 응전, 정교하고 강력한 기계를 자유롭게 활용하기 위해 경제를 여러 시장들이 연결된 자기 조정 체계로 바꿈. [0023-2~3] 01. 기계 사회에서 인간 생활을 어떻게 조직해낼 것인가라는 새로운 문제 직면, 노동자가 무기력해지는 방향으로 노동 분업, 생활은 표준화, 유기적 원리보다 기계적 원리, 자발성보다 조직성의 원리가 지배하는 산업 문명의 불길한 징조. 02. 시장 경제는 경제 체제가 사회에서 맡는 역할과 기능 지나치게 단순화, 시장적 사고방식의 유산. 03. 위기 극복을 위해 세계에 대한 좀 더 현..
[목차] <전 세계적 자본주의인가 지역적 계획경제인가 외>#000 _책을 옮기게 된 계기, 홍기빈 7 _들어가는 말, 홍기빈 16 제1장 낡은 것이 된 우리의 시장적 사고방식 21 1. 시장 사회 26 2. 경제 결정론 39 3. 사회 실재의 현실 42 4. 산업 사회에서의 자유 46 제2장 거대한 변형 중에서 51 1. 자기 조정 시장 그리고 허구적 상품 : 노동, 토지, 화폐 53 2. 인간, 자연, 생산 조직 68 제3장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노트 75 1. 다시 쓰는 마르크스주의 77 (1) 왜 그 '역사의 숙명적인 일'이 벌어지는가 77 (2) 자기 이익과 지도력 78 (3) 계급과 위기 80 (4) 지도력의 대가 81 2. 경제학 철학 수고 소개 82 3. 마르크스 철학에 대한 강의 교안 85 4. 마르크스주의의 기독교적 관점 : 비판 89 제4장 우리의 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