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노트] <공간으로 세상 읽기 - 집.터.길의 인문사회학>#008
4. 아파트와 마을 만들기 [0107-1~2] 01. 이웃과 지역 필요한 인간 욕구, 원활한 통치 위한 공간 단위 구획의 전략적 이점 -> ‘마을 만들기’ 사업, 계획을 통해 마을 만드는 것 가능하다고 전제. 20세기 초 집약적 주거와 자동차 시대의 도래, 마을 만들기 필요성의 배경. [0108-1~0109-1] 01. 페리의 근린주구론. 적정 초등학교 학생수(800~1500명) 기준 인구 규모(4,800~9,000명)로, 초등학교, 놀이터 및 소공원, 근린상점, 주거환경 중심으로 계획, 전체도시 일부이자, 독자적 ‘세포도시’. 02. 미국 자본주의 페리 / 소련 사회주의 밀류친. 원칙은 ‘공동주택과 직주일치’. 하워드의 ‘전원도시’, 공상적 사회주의자들의 코뮌주의 적극 반영. 1935년 ‘모스크바 재건..
[독서노트] <공간으로 세상 읽기 - 집.터.길의 인문사회학>#006
6. 주거의 종말? [0075-1~0076-2] 01. 집 자체가 사리지고 있음, 잠을 자거나 휴식 취하는 정도의 단순 기숙사화, 페로는 오늘날 방이 “인류학적 중요성 상실” 02. 방의 가출, 노래방, pc방, 찜질방 등 ‘방의 도시’는 집의 소멸을 알리는 문명사적 전조 [0077-1] 모빌리티 01. 원인 1) ‘모빌리티’의 급속한 증가, 보다 많이, 보다 자주, 보다 멀리 움직이는 시대 02. 어리, 이동과 흐름, 만남과 네트워크가 사회적 핵심으로 대두되는 상황 -> 영구적 정주공간 필요성 상실, 신유목사회의 도래 및 주거문명 전으로 회귀 03. 신유목민은 각종 첨단 IT장비로 지속적 연결성 확보, 홈/어웨이 경계가 모호, 셸터가 더 적합, 모바일하우스 득세, 미래는 비주택자가 대세 흐름 [0078..
[독서노트] <공간으로 세상 읽기 - 집.터.길의 인문사회학>#005
5.집의 인문학적 위기 [0068-1] 01. 산업화 과정 태동한 근대적 주거공간은 전보다 위생, 편리, 효율, 사생활 보호 측면에서 진일보 02. 집의 본질적 기능과 실존적 의미에 대한 다른 견해, 20세기 식 집합주택은 집다운 집 아니라는 주장 [0069-1~0070-1] 하이데거 01. 하이데거, 후설 현상학에 기초하여 존재가 나타나는 현상으로서의 공간 집중 성찰, “현존재는 공간 속에 사물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그때마다 스스로 고유한 소재를 결정...현존재는 차라리 정신적” 02. 인간은 지상에 존재하는 것 지배, 이용하는 주인이 아니라 존재의 세계에 거주하는 존재의 이웃이 되어야 03. 도시화로 인한 이주의 시대, 공간상실, 거주상실, 고향상실 초래 04. 기술형이상학, 삶의 문법을 존..
[독서노트] <공간으로 세상 읽기 - 집.터.길의 인문사회학>#003
제2장 집 1. 집의 탄생 [0044-2~0045-1] 01. 신석기 혁명 이후 도래한 농업사회, 인간에게 집의 필요성과 가능성 동시에 제공 2. 집, 인간이 자신의 정체성 발견, 집을 통해 ‘나’라고 하는 인간의 시간적인 연속성이 무의식 중에 확인, 내가 누구인지 생각하는 계기 제공 2. 주거 공간의 진화 [0047-1~0049-2] 01. 주거의 평준화가 주거의 근대화와 더불어 시작, 산업화 이후의 현상 02. 근대화 이후 그 전과 뚜렷하게 구분되는 새로운 주거양식과 주거문화 등장, 르네상스-방들의 역할 분화는 전조, 바로크-과시적 공간 배치는 징후 03. 프랑스 신흥 부르주아, 기존의 귀족주택 오텔 대신 아파트에 거주 시작, 수직 방배치 -> 수평 방배치, 배타적 내부공간 04. 18~19세기, 유..
[독서노트] <공간으로 세상 읽기 - 집.터.길의 인문사회학>#002
2. 한국의 공간지식 생태계 [0026-1] 1. 국내 공간문제, 기술 및 공학 분야가 독점 [0027-1] 1. 압축적 근대화, 공간에 대한 인문사회학적 견해 배제, 공간은 사유나 성찰의 대상 아닌 계획과 개발 대상 2. 기술, 공학 분야의 헤게모니, 공병학과 부동산의 약진 [0028-2] 1. 계획과 토건의 관점 하에 공간 연구는 권력의 도구 및 자본의 수단(관학협력, 산학협동 미명하에) [0029-1] 1. 전형적인 비용-편익분석의 기계적 적용, 통찰, 직관 등 이른바 암묵지에 대한 가치는 측정되지 않음 [0030-1~0031-1] 1. 지역단위의 정체성, 자율성 부재, 중세자치도시 계승한 서구의 도시와 달리 한번도 시민이 주인 되어본 적 없는 우리의 도시 2. 결과적으로 우리의 도시담론 및 도시지..
[독서노트] <공간으로 세상 읽기 - 집.터.길의 인문사회학>#001
제1장 공간과 삶 1.공간으로 읽기까지 [0017-1] 1. 인간, 시간, 공간...우리가 존재한다는 것은 어디까지나 시간 사이, 공간 사이, 그리고 인간 사이에서다. [0018-1] 1. 명실상부한 시공간적 존재는 인간 뿐. [0018-2] 1. 19세기 근대학문의 대표적 패러다임 역사주의(historicism) 2. 역사주의, 모든 사상이 역사성을 본질적 속성으로 갖는다고 보고, 역사성을 통해 이들을 설명하고 평가하는 사고방식 [0019-1] 1. 시간적 사고의 부상, 공간적 사유의 퇴조 -> 지리학의 침잠 2. 인문지리, ‘환경결정론’ 이유로 거부, 사회이론생산에서 배제 3. 학계의 헤게모니는 역사학 [0019-2] 1. 사회학은 19세기 근대학문의 늦둥이 2. 역사학, 계몽주의, 관념론적 철학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