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 터
1. 터의 뜻
[0087-1~0088-2]
01. 터라는 순우리말에 기반한 마을, 동네, 도시 담론
02. '터'의 개념은 '장소'와 가까움, 공간과 대비되는 함의, 투안 "공간이 장소가 되는 것은 인간의 '경험'에 의해서"
03. 체험공간으로서의 터, 국가나 세계보다는 마을, 동네, 도시와 어울림
2. 마을의 원형과 변형
[0089-1~0090-2]
01. 동네: 공간적 범주 / 마을: 함께사는 행위에 방점
02. 마을은 인간의 가장 오랜, 가장 친근한 장소
03. 아프리카 속담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
04. 마을 그 자체로 “하나의 체계이자 세계이며 우주”, 개체로 분열되지 않는 유기체
[0091-1~0092-1] 풍경공동체
01. 물을 매개로 한 생활(운명)공동체가 만드는 풍경, 공간의 현상학은 풍경과 거주를 figure / ground 관계로 설명
02. “거주지는 풍경을 구체화하는 사건으로 출현”, 마을은 “우연한 정착의 결과 아닌 그것이 터하고 있는 풍경에 대한 이해와 거기서 열리는 실존적 상황 드러내는 것” -> 공유하는 풍경 없다면 마을 아니다
03. 투안, “지도는 비역사적 / 풍경화는 역사적”
[0093-1]
01. 근대화 이후 물 공급체계 광역화, 공업화, 전문화, 독점화
02. 생존경제에서 시장경제로 이행, 마을은 경제단위 핵심기능 상실.
[0093-2~0098-1]어반 빌리지와 카르티에
01. 도시 속 새로운 마을의 탄생(어반 빌리지) / 기존 마을이 도시발전과 공진화(카르티에)
02. 어반 빌리지: 이탈리아 이민자 집단 연구한 간스, 당시 미국사회 비주류 집단들이 자신들의 비도시적 제도, 문화를 새로운 도시환경에 적응시키는 일종의 ‘에스닉(ethnic) 공간’ 의미, 슬럼이 아닌 빌리지로 인식할 필요 / ‘어반 정글’과 대비되는 개념
03. 1960-70년대 서울 ‘달동네’ 어반 빌리지 개념과 유사, 구성원 대부분 농촌에서 ‘헤쳐 모여’한 경우, 미국 인류학자 브란트, 서울 달동네는 ‘슬럼’ 아닌 ‘정상 동네’, 극빈자와 상경자가 경제적 평등 바탕으로 “축제 분위기”담고 생활하는 공간
04. 카르티에, 현재 프랑스 파리에 가장 유력하게 남아, 전통적 생활공동체로 공식 행정체계와는 별도로 존재, 파리의 “기본도시 단위”로서 뚜렷항 “경계의 심리지리학” 형성, 비연속적 성장과 불규칙한 발전 리듬의 산물
05. 주킨이 뉴욕 연구로부터 도출한 ‘어반 테루아’개념과 유사, 테루아는 특정 음식, 도시마을의 차별적 특성을 공간적 차원의 테루아로 표형
06. 우리네 달동네(어반 빌리지)와 전통 생활공동체(카르티에) 도시 재개발 과정에서 대거 소멸. 서촌, 북촌 등은 지역개발 및 관광객 유치 위한 “만들어진 전통”.
3. 도시와 공동체
[0099-1~0106-1] 도시 속 공동체 형성 조건과 작동 원리
01. 각종 생활 공동체 인프라 즉, 상업, 교육, 공공 시설 등. 서비스 내용 보다 친밀성 및 역사성이 주요. ‘토박이’ 근생, 주민들 기억의 응집-이야기 누적된 사회문화적 앵커이자 허브 -> 우리 현실은 획일화된 프랜차이즈 업종 동네 상권 잠식.
02. 골목, 도시의 역사는 골목의 역사. 집과 세계를 잇는 점진적, 순차적 매개공간. 자연히 형성된 “귀납적 축적의 산물”. 골목마다 고유한 시간대 혹은 생활리듬. 놀이, 휴식, 문화 공간. 투안이 말한 안전감시 역할 “집들은 눈을 가지고 있다.”, 아이들이 장차 나갈 사회를 연습하는 공간.
03. 일제, 1960년대 압축 고도성장기, 골목길 불도저식 파괴는 구습타파 발전의 상징.
04. 아파트 골목의 기능적 등가물, 엘리베이터, ‘수직 골목길’. 단순 통과수단으로 ‘고공 주민’ / ‘길가 주민’ 격리 배제.
05. 맹목적 골목 예찬 경계, “골목 없이 공동체 없다”식의 복고주의 신화. 골목 노스텔지어에 의한 골목 풍경 미학화 및 상업화가 더 위험.
06. ‘동네’ 힘의 원천, 기억과 역사 및 근린 사회의 네트워크 강화. 나름의 전통과 풍경. 시장원리, 행정구조 너머 작동하는 동네 고유 암묵적, 내면적 규칙과 질서 키워가는, 창의적 발상과 시민의식.
'독서노트 > 2020-1 공간으로 세상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노트] <공간으로 세상 읽기 - 집.터.길의 인문사회학>#008 (0) | 2020.03.17 |
---|---|
[독서노트] <공간으로 세상 읽기 - 집.터.길의 인문사회학>#006 (0) | 2020.02.06 |
[독서노트] <공간으로 세상 읽기 - 집.터.길의 인문사회학>#005 (0) | 2020.02.01 |
[독서노트] <공간으로 세상 읽기 - 집.터.길의 인문사회학>#004 (0) | 2020.01.30 |
[독서노트] <공간으로 세상 읽기 - 집.터.길의 인문사회학>#003 (0) | 2020.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