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서론
i. 과학과 철학의 공간개념 분화
[0063_1] 근대 공간개념 (.....) 상반된 의미를 지닌 개념으로 변화 (.....) 철학과 과학 두 분야에서 진행 (.....) 서로 다른 특징과 의미들이 동일한 용어로 포괄 (.....) 과학 분야 (.....) 공간이 객관적 실체라는 하나의 의미로 견지 (.....) 자연 공간으로 명명 (.....) 철학 분야 (.....) 주관에 관련된 것으로 해명된다는 점에서 인식 공간으로 명명 (.....) 네 가지 형태 (.....) 뉴턴의 절대공간 (.....) 라이프니츠의 상대공간 (.....) 데카르트의 연장 공간 (.....) 칸트의 선험 공간
ii. 근대과학의 자연 공간
[0064_1] 자연 공간은 공간의 본질을 수학적-기하학적으로 측정 가능한 객관적 연장체로 파악하는 공간이론을 총칭 (.....) 정신에 독립된 객관적 실체이며 진공이라고 규정 (.....) 천체들의 위치와 장소, 그리고 운동을 설명하는데 유용 (.....) 현대 스페이스(space) 개념의 근간 (.....) 세계를 공간적으로 분할하고 장소적 경계를 긋는 데도 유용 (......) 공간 속에서 인간이 다른 사물들보다 더 우선적인 권리를 갖지 못한다는 점도 부각
iii. 근대철학의 인식 공간
[0064_2] 근대철학 (.....) 자연 공간의 개념적 토대를 제공 (.....) 공간에 대한 인간적 관계와 상호 간의 공감적 이해를 중시 (.....) 데카르트는 공간을 연장체로 해명함으로써 자연 공간의 토대를 제공 (.....) 진공으로 파악하려는 자연과학자들의 관점을 거부 (.....) 비가시적 물질로 채워져 있다고 해명 (.....) 칸트는 공간을 객관적 실체로 규정하는 것 자체를 거부 (.....) 주관의 감각 형식 (.....) 라이프니츠는 공간을 개별 정신(모나드, monad)들의 상관관계를 반영하는 위치와 장소 개념으로 정리 (.....) 인식 공간은 장소(topos)개념에 관계(relation)의 소재(place)와 위치(situation)가 더해진 공간(space) 개념으로 수립
1. 절대공간론의 과학: 뉴턴의 절대적 공간
i-1. 공간의 의미 변화: “경계"에서 “부피"에로 (1)
[0065_1] 뉴턴은 근대과학적 공간개념을 집대성 (.....) 비가시적인 연장체(extension)로 규정 (.....) 연장은 데카르트에 의해 입체적인 물체를 규정하는 개념으로 사용 (.....) 공간은 보이지 않는 연장체로 어떠한 물질 없는 텅 비어 있는 곳 (.....) 고대와 중세의 전통적 관점 (.....) 공간은 단순히 비어 있음(void) 또는 물체가 차지하는 장소(topos) (.....) 최소한 부피를 가진, 즉 가로와 세로로 이루어진 넓이에 깊이를 더한 입체적 형체로 파악 (.....) 스페이스(space)라는 새로운 용어로 명명 (.....) 우주(universe)와 동일한 의미
i-2. 공간의 의미 변화: “경계"에서 “부피"에로 (2) 무한공간의 탄생
[0066_1] (.....) 전통적인 논쟁은 우주의 경계 내부가 아니라 외부에 관련 (.....) 고대와 중세에서 공간은 물체를 수용하는 장소로서 연장이라고 규정 (.....) 공간을 물체들 사이의 표면으로 규정하거나 물체를 담고 있는 용기로 해석할 경우 (.....) 진공을 부정 (.....) 비어 있는 공간이란 일체의 존재가 소멸된 장소 (.....) 표면이 물체의 표면이라면 물체가 없는 표면으로서 공간이란 자기 모순적인 것 (.....) 중세의 천체 위계이론에서 최고 위계의 바깥이 존재할 수 있는가 하는 논쟁으로 옮겨졌고, 여기서 다시 진공 개념이 부활 (.....) 공간은 빔(void)이면서 동시에 세계를 포괄하는 수용체로 규정 (.....) 공간은 우주 위계의 한계 또는 경계로서 파악 (.....) 경계의 두께에 대한 물음이 다시 생겨날 수밖에 없다. (.....) 우주 자체를 무한공간으로 설명하려는 관점이 생겨났다.
[0067_1] 경계의 (.....) 공간개념은 경계 자체를 부정하는 사유 태도에 의해서 해체 (.....) 세계 또는 우주를 포함하는 무한 공간 (.....) 빔(void) 또는 장소(topos)를 포괄하는 (.....) 스페이스(space) 개념으로 정립 (.....) 안과 밖의 구별을 초월한 개념으로서 천체 세계들이 펼쳐진 장소라는 의미로 규정 (.....) 지구 중심의 세계관을 동요시켰고, 무한 공간과 신 사이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논쟁
i-3. 공간의 의미 변화: “경계"에서 “부피"에로 (3) 쿠자누스와 브루노의 무한 공간
[0067_2] 르네상스 시대에 무한 공간과 신 사이의 논쟁을 해소하는 철학자, 쿠자누스(Nicolaus Cusanus)와 브루노(Giordano Bruno) (.....) 쿠자누스는 우주공간과 신의 관계를 제약된 무한성과 절대적 무한성으로 규정하며, 지구 중심의 세계관 대신에 중심과 주변의 상대성을 인정하는 우주공간론을 제시 (.....) 천체들이 관찰자의 시점에 따라 상대적으로 규정된다 (.....) 평등한 우주공간 개념 (.....) 브루노는 우주(universe)를 무수한 세계들(cosmos)로 이루어진 무한 공간, 에테르(ether)로 채워진 바다로 표현 (.....) 우주공간에서 세계들이 상호 대등한 관계 (.....) 고정된 크기를 갖는 것이 아니라 세계들이 형성될수록 우주공간도 확대된다
i-4. 공간의 의미 변화: “경계"에서 “부피"에로 (4) 무한 공간과 우주 내부의 진공 가능성
[0068_1] 무한성에 대한 논쟁을 거치면서 근대에는 우주 내부의 진공 가능성에 대한 논쟁 (.....) 철학자들은 대체로 (.....) 진공 상태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진공에 대한 어떤 관념도 가질 수 없다고 여겼다. (.....) 근대과학자들은 천체운동의 지속성에 대한 논쟁에서 (.....) 진공의 존재 가능성을 주장 (.....) 실험하는 활동을 통해서 입증되기도 (.....) 철학자들은 공간이 부피를 가진 연장체이고 비가시적이라는 점과 공간이 균일한 밀도를 가진 연장체가 아니라는 점에 대해서 긍정적이었지만, 공간 안에 진공 상태가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 의문점을 제기하거나(데카르트), 공간 자체의 객관적 실재성을 인정하지만 절대성을 부정하거나(라이프니츠), 공간의 실재성 자체를 부정하는(칸트) 관점을 제시 (.....) 공간이 물체 사이의 틈 또는 세계의 한계(경계)가 아니라 물체 또는 천체들을 부분으로서 포함하는 부피를 가진 연장이라는 점에는 공감
[0069_1] (.....) 빔(void, empty), 틈(interval), 진공(vacuum) 등은 공간(space)의 성질로 파악 (.....) 공간의 존재와 본성(nature)에 대한 물음을 새로운 주제로 부각 (.....) 과학에서 공간은 사물을 포괄하면서도 독자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실체로서 파악 (.....) 공간의 객관성 강조 (.....) 철학에서 공간은 주관적 관념으로 규명 (.....) 공간의 의미를 증식시키고 다양화
'독서노트 > 2017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노트] <공간에 대한 철학적 이해>#007_3장 근대의 자연 공간과 인식 공간(p.63~p.104)_03 (0) | 2017.11.20 |
---|---|
[독서노트] <공간에 대한 철학적 이해>#006_3장 근대의 자연 공간과 인식 공간(p.63~p.104)_02 (0) | 2017.11.20 |
[독서노트] <공간에 대한 철학적 이해>#004_2장 서양 고대철학에 있어서의 공간(p.25~p.62)_03 (0) | 2017.11.20 |
[독서노트] <공간에 대한 철학적 이해>#003_2장 서양 고대철학에 있어서의 공간(p.25~p.62)_02 (0) | 2017.11.20 |
[독서노트] <공간에 대한 철학적 이해>#002_2장 서양 고대철학에 있어서의 공간(p.25~p.62)_01 (0) | 2017.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