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 주거의 종말?
[0075-1~0076-2]
01. 집 자체가 사리지고 있음, 잠을 자거나 휴식 취하는 정도의 단순 기숙사화, 페로는 오늘날 방이 “인류학적 중요성 상실”
02. 방의 가출, 노래방, pc방, 찜질방 등 ‘방의 도시’는 집의 소멸을 알리는 문명사적 전조
[0077-1] 모빌리티
01. 원인 1) ‘모빌리티’의 급속한 증가, 보다 많이, 보다 자주, 보다 멀리 움직이는 시대
02. 어리, 이동과 흐름, 만남과 네트워크가 사회적 핵심으로 대두되는 상황 -> 영구적 정주공간 필요성 상실, 신유목사회의 도래 및 주거문명 전으로 회귀
03. 신유목민은 각종 첨단 IT장비로 지속적 연결성 확보, 홈/어웨이 경계가 모호, 셸터가 더 적합, 모바일하우스 득세, 미래는 비주택자가 대세 흐름
[0078-1~0079-1] 가족관계의 혁명
01. 근대 이후의 ‘1가족 1주택’원칙의 와해, 1인 가구의 급증(가치관에 충실한 자발적 경우 / 빈곤, 배제 등의 비자발적 경우)
02. 가족규범의 변화, 가족은 절대적인 것도, 최선도 아니라는 인식 확산, ‘개인화 태제’
03. 20세기 중반 사회적 발명품으로 등장한 개인주의는 생활세계에서 가족이 아닌 개인을 재생산 단위로 만들었음, 자신의 계획과 능력에만 기댄 각자도생 사회
[0079-2~0083-2] 사물인터넷, 집의 고가화
01. 스마트 홈 담론,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 부모, 사랑 등 모호해진 의미, ‘스위트 홈’과 ‘스마트 홈’의 거리
02. 전반적으로 비싸진 집의 가격, 집 대신 방 풍조, 방꾸미기 및 셀프 인테리어 열기, 랜선(온라인) 집들이
03. 2005년 기준 세계적으로 1억명의 홈리스, 2013년 기준 8억 6천만명 슬럼 거주
04. 무주택 난민에 대한 사회 대응책 1)착한 집 및 재난건축 등 실질적 대응, 2)국제 정치적 대응
'독서노트 > 2020-1 공간으로 세상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노트] <공간으로 세상 읽기 - 집.터.길의 인문사회학>#008 (0) | 2020.03.17 |
---|---|
[독서노트] <공간으로 세상 읽기 - 집.터.길의 인문사회학>#007 (0) | 2020.03.17 |
[독서노트] <공간으로 세상 읽기 - 집.터.길의 인문사회학>#005 (0) | 2020.02.01 |
[독서노트] <공간으로 세상 읽기 - 집.터.길의 인문사회학>#004 (0) | 2020.01.30 |
[독서노트] <공간으로 세상 읽기 - 집.터.길의 인문사회학>#003 (0) | 2020.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