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랭크 게리

(2)
[독서모임/준비] <표면으로 읽는 건축>#005_05 기제작과 재제작(p.202~p.240)_03 vi. 발견된 대로(p.227~p.235) [0227-2 ~ 0232-1]01. 스털링과 고완 , "발견된"사물과 그들의 변형을 받아들이는 감각02. 기능별 볼륨의 병치, 관습 벗어난 재료 사용(가벼운 조적벽, 프리즘 유리창), 프램튼은 구조와 외피의 분리 평가03. 다양한 볼륨의 공존과 상호 근접성, "집합체 표현"을 위한 가장자리 선처리의 시각적, 시공적 고려 [0232-2]01. 매스와 집합체 사이 모호한 경계에서 오는 "파편의 집합"의 이미지, 큐비즘 회화와 유사02. 3차원 매스 배치에 엑소노메트릭 활용, 입면도(전통 파사드 건축)와 대비되는 엑소노메트릭의 3차원 총체적 경험 [0234-1 ~ 0234-2]01. 스털링, 고완 , 개개 볼륨보다 여려면에 복합 집약된 매스 추구, 제한된 재료02...
[독서모임/준비] <건축; 형태를 말하다> 06 20세기 말 건축의 경향(p.069~p.109)_02 ii. 제임스 스털링의 건축(p.074~p.078)01. 콜린 로우와 제임스 스털링, 이론과 실천.02. 의 익히 알려진 유형의 평면들, 바실리카, 카롤리나 탑, 노르망디 성채.03. 자의적으로 선택된 평면들에 의한 오피스 건물 계획. "어떤 평면도 오피스로 각색될 수 있음"Q-01. 왜 바실리카, 카롤리나 탑, 노르망디 성채 인가?04. "콜라주"와 "파편화"를 암시하는 우연적인 방식.05. 모던하고 브루탈리즘적 디테일로 구현된 입면 개구부 디자인과 평면의 즉흥적 선택의 대비.06. 평면을 이끌어낸 픽처레스크 기하학, 건축가의 강박적, 규칙적 입면 디자인 요소의 대비.07. 도발적인 색의 사용과 건축가의 권위적 태도. iii. 프랭크 게리의 건축(p.078~p.090)01. 정통 모더니즘 건축을 받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