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플레이션

(2)
[독서노트] <자본주의 특강>#009 화폐 3 4. 자본주의의 화폐적 무질서 [0126-1~3] 01. 자본주의 양대 화폐적 무질서 인플/디플은 단순 경제 현상 아닌 정치적 현상. 02. 몇몇 공산주의 > 자본주의 전환 국가에서 드러나듯, 자본주의 성공 필수 요건인 안정된 화폐 공급, 강력하고 안정된 국가의 몫. 03. 건전화폐 옹호론자들 : 급속한 인플/디플은, 시장교환 화폐화 수준 낮고, 화폐 생산하는 은행 시스템 없던 다른 체제에 비해, 자본주의에서 화폐가 너무 손쉽게 생산되기 때문이라고 주장. [0127-1~0129-2] 인플레이션 1, 원인들 01. 인플, 채권자 불리 / 채무자 유리하게 만드는 방향으로 부를 재분배하는 상황 낳을 수 있음 > 생산과 소비에 자금 대는 신용화폐 창출 자체가 멈출 수 있음. 02. 공급충격(supply shoc..
[독서노트] <자본주의 특강>#008 화폐 2 3. 화폐시장과 신용화폐의 생산 [0116-2] 01. 일반 시장과 다른 양상 보이는 화폐시장의 수요와 공급. 화폐 희소성 상실 > 인플레이션, 노동 동기 상실. 02. 현대자본주의 화폐 공급 통제, 신용으로 창출되어 단지 장부상 기호 및 전자 신호로 존재하는 화폐 희소성 지키기 위해, 국가-민간 채무 계약 통제하는 규칙과 규범 필요. [0117-2~0118-2] 민간신용-은행시스템 '화폐 승수' 01. 생산-소비 자금 수요 해결하는 은행 시스템. 대출하면서 예금계좌 개설 > 화폐 생산. 은행 보유 예금 중 10% 은행 부분지급준비금(fractional reserve) > 대출 형태로 최대 10배까지 화폐 창출 가능 02-1. 일반적 회계 관행 복식부기법 관습, 전체 은행 시스템에서 예금(채무)총액과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