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르크스주의

(3)
[독서노트] <전 세계적 자본주의인가 지역적 계획경제인가 외>#007 4. 마르크스주의의 기독교적 관점 : 비판 [0089] 4,5 01. 사회 구조 결정에 ‘생산’이라는 요인이 가지는 중요성 평가. 02. 대개 마르크스 사상 전체를 ‘유물론적’이라고 평가에서 비롯된 철학적 유물론이 마르크스주의의 기초라는 오해. 03. 인간은 계급을 기초로 분할, 역사적 사실. 자본주의 아래서도 사실이며, 계급 화해라는 임무는 환상. [0090] 6 자본주의의 발흥 01. 기술 개선 -> 재화의 증가 -> 재화의 무제한적 생산이라는 자유주의 사상 -> 생산에 참여한 이들 가운데 ‘희소성’에서 이윤이 비롯함을 깨달은 이들 등장. 02. 노동이 상품으로 전락. 사회에서 개인의 모든 관계 및 생계, 복지에 대한 배려 저버린 자본주의적 형식이 인간사회에 정착. 03. 물신화는 이런 “도둑질”을 ..
[독서노트] <전 세계적 자본주의인가 지역적 계획경제인가 외>#006 2. 경제학 철학 수고 소개 [0082-1~0083-1] 01. 정치경제학은 시대 마다 다른 의미. “마르크스는 자신의 정치경제학 어떻게 정의했는가” 중요 주제. 02. 마르크스는 고전파의 지혜 빌어, 이 새로운 과학이 인간 사회 자체의 법칙을 포함하고 있다는 의미로 정치경제학 받아들임. 03. 실제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떠받치고 있는 사상이 그 경제 체제의 산물임을 처음으로 깨달은 사상가. 04. 오늘날 시장 경제의 특징은 시장에서 재화 교환을 통해 사회의 노동이 분업된다는 것. 이런 조직은 화폐,,인간 욕구, 가격, 무엇보다 ‘사적 소유’제도 함축. [0083-2~0084-1] 01. 글의 계획은, 사적 소유, 욕구와 필요, 저축과 지출, 유효 수요, 자본과 노동, 자본과 토지 등 경제학 주요 용어들의..
[독서노트] <전 세계적 자본주의인가 지역적 계획경제인가 외>#005 제3장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노트 1. 다시 쓰는 마르크스주의 [0077-1] (1) 왜 그 ‘역사의 숙명적인 일’이 벌어지는가 01. 계급, 생산 과정과 맺는 관계에서 비슷한 지위를 차지하는 사람들의 집단. 생산 체제 변화 -> 혜택보는 집단의 변화. 02. 노동 계급, “실제로 그 역사의 숙명적인 일을 일으킨다고 예언된 이들은 바로 이 아무것도 잃을 것이 없는 집단” 사회가 객관적, 역사적 상황이 허락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추동. 03. 17, 18세기 부르주아 혁명은 나름대로 인류 보편 이익에 부합. 오늘날에는 ‘전체 사회’가 기계를 합리적으로 ‘계획’하고 ‘힘을 합쳐’ 사용하는 것이 생산을 증대시키는 길. 이러한 변화에 아무 잃을 것 없는 계급이 바로 노동 계급. 04. 노동 계급이 변화를 끌어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