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식된 헛간 (1) 썸네일형 리스트형 [독서모임/준비] <표면으로 읽는 건축>#003_03 피복의 외관(p.105~p.162)_02 iii. 상징적 표면(p.118~p.121) [0118-2]01. 젬퍼, 건축적 상징의 해석으로 열린 "비텍토닉적" 파사드의 가능성과 건축 표면의 "비물질성"02. "현실과 재료의 소멸"을 통해 의미 있는 상징으로 드러나는 건축 형태03. 재료의 소멸, "순수한 색채의 채색으로 물성을 가림"04. 현실의 소멸, 축제, 비극적 미메시스와 동일하게 기념비적 건축에서 전제되는 현실의 부정 [0120-1]01. 건축의 순수 예술로서의 위상 위해 "필요의 예술 모방"과 더불어 "상징의 본성" 취해야 함 [0121-1]01. 영국의 오웬 존스, 피복에 비물질적 형태와 순수 색채 사용02. 인류의 열망은 개인 정신의 흔적 각인에 있음, 문신과 조각에서 드러남 iv. 각인된 파사드(p.121~p.127) [0121-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