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노트] <공간으로 세상 읽기 - 집.터.길의 인문사회학>#008
4. 아파트와 마을 만들기 [0107-1~2] 01. 이웃과 지역 필요한 인간 욕구, 원활한 통치 위한 공간 단위 구획의 전략적 이점 -> ‘마을 만들기’ 사업, 계획을 통해 마을 만드는 것 가능하다고 전제. 20세기 초 집약적 주거와 자동차 시대의 도래, 마을 만들기 필요성의 배경. [0108-1~0109-1] 01. 페리의 근린주구론. 적정 초등학교 학생수(800~1500명) 기준 인구 규모(4,800~9,000명)로, 초등학교, 놀이터 및 소공원, 근린상점, 주거환경 중심으로 계획, 전체도시 일부이자, 독자적 ‘세포도시’. 02. 미국 자본주의 페리 / 소련 사회주의 밀류친. 원칙은 ‘공동주택과 직주일치’. 하워드의 ‘전원도시’, 공상적 사회주의자들의 코뮌주의 적극 반영. 1935년 ‘모스크바 재건..